뛰어난 통계 분석과 해석, 대단한 기사이다.
그리고 필자는 더하고 싶은 것이,
설사 부자/가난한 자 분류하고 지지층의 사실이 그렇다 하더라도,
뭘 그런 분류에 그렇게 분석한 기사에 그렇게 매달리며, 그런 것에 집중하고 골몰하고 선전해 대는가?
정치인이 부자들의 지지를 받는 것은 자랑스럽고, 가난한 사람의 지지를 받는 것은 부끄러운 것이란 말인가?
그런 분류가 사실이든 아니든, 그런 것을 많이 따지는 것 자체가 부끄러운 것 아닌가..
...... [2022-07-30] IIS 지식정보네트워크.
세계일보
“가난하면 보수층”…때마다 가난을 소환하는 정치인들 [이슈+]
입력 : 2022-07-30 15:16:47 수정 : 2022-07-30 15:43:02
“극빈의 생활을 하고 배운 게 없는 사람은 자유가 뭔지도 모른다.”(지난해 12월22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저학력·저소득층에 국민의힘 지지자가 많다.”(지난 2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국민을 가난한자와 가진자로 나누는 가난의 정치학이 또다시 대한민국 정치권을 덮쳤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저학력·저소득층에 국민의힘 지지자가 많다”며 발언한 데 대해 공분이 일고 있다. 국민을 가난한 사람과 부자, 이분법적 사고로 나누며 또다시 갈등을 조장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하지만 이 후보의 이야기처럼 정말 소득수준이 낮은 국민은 보수정당에 투표할까. 겉으로보면 소득수준에 따른 정치적 성향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 실체는 연령에 따른 선택이 반영된 결과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당 대표 후보. 연합뉴스
◆“그들은 왜 국민을 가난한 자와 가진자로 나누나”
이 후보는 지난 29일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저학력·저소득층에 국민의힘 지지자가 많다며 안타까운 현실인데, 언론 환경 때문에 그렇다고 언급했다. 이 후보의 발언에 대해 민주당 당권주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박용진 후보는 “이 후보의 발언은 위험한 발상”이라며 “저학력·저소득층이 언론 환경 때문에 국민의힘을 지지한다는 말은 너무나 노골적인 선민의식”이라고 꼬집었다. 강훈식 후보도 “우리는 대선 패배에 대한 반성을 아직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며 “대선 기간 우리 선거캠프 인사가 윤석열 당시 후보 지지자 대부분이 저학력·빈곤층이라고 했다가 SNS 글을 지우고 사과한 적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발언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 후보는 이날 다시 트위터에 글을 올려 지난 대선에서 월소득 200만원 미만 유권자 10명 중 6명이 당시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소개하며 “안타깝지만 실제 현실은 이렇다”고 자신을 겨냥한 비판을 반박했다.
이 후보는 “초부자·초대기업 감세(를 하고), 대신 지역화폐 일자리예산 같은 서민지원을 축소하는 게 국힘(국민의힘) 정권”이라며 “일부지만 자신에게 피해를 끼치는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이 있다는 게)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 후보가 이같은 논란을 자초하면서도 가난한 사람은 국민의힘 지지자라고 표현은 이유는 무엇일까. 일각에서는 당권에 도전한 이 후보가 민주당 지지층 결집을 위해 과격한 표현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대선을 연상케하듯 국민의힘 지지자와 민주당 지지자를 갈라, 민주당의 강성 지지층 결집을 도모하려 했다는 것이다.
정치인들이 이처럼 가난한 사람과 부자로 국민을 나눈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앞서 대선후보 시절인 지난해 12월22일 윤석열 대통령도 “극빈의 생활을 하고 배운 게 없는 사람은 자유가 뭔지도 모른다”고 말한바 있다. 당시 윤 대통령의 발언은 국가가 교육과 경제적 기초를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취지였지만, 가난하고 배운 게 없는 사람을 폄하하는 표현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윤석열 대통령. 연합뉴스
◆저소득자는 정말 보수를 지지하나, 사실은 연령효과
이 후보는 해명을 하며 자신의 트위터에 기사를 하나 소개했다. 이 기사는 동아시아연구원(EAI)의 대선패널 2차 조사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여기엔 소득 상위 구간인 월 600만~700만원 미만에선 윤 당선인을 32.6%가 찍은 반면 61.7%가 이 후보를 선택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 월 200만원 미만 계층에선 윤 대통령을 뽑았다는 응답자가 61.3%였고, 이 후보를 찍은 응답자는 35.9%였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표면적으로보면 월 600만원 이상 버는 소득자는 이 후보를, 200만원 미만 버는 소득자는 윤 대통령을 뽑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이 자료는 큰 오류를 갖고 있다. 단순히 월 소득을 기준으로 나눈 것일 뿐 조사자들의 성별과 나이에 따른 영향을 반영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 이 후보를 지지하는 연령대가 삶에서 가장 높은 소득을 올리는 40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소득이 높은 사람이 아닌, 40대가 이 후보를 선택했다는 표현이 정확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 시절 온라인을 통해 정치적 참여를 해온 이들은 오랜기간 민주당의 충성층으로 존재해왔다.
이는 전병유 한신대 경제학과 교수과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의 ‘저소득층일수록 보수정당을 지지하는가’라는 제목의 논문을 보면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두 교수가 지난 2003~2012년 10년간의 유권자 성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저소득층이 ‘계급배반’(보수성향) 투표를 하지 않았으며, 저소득층이 보수적 선택을 한 것처럼 보인 것은 실제로는 연령 변수와 결합된 효과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저소득층이 보수 정당을 더 지지하며 빠르게 보수화해 온 것은 맞지만 연령 효과를 통제하면 소득계층에 따른 보수화 효과는 사라졌다고 설명하고 있다. 가령 단순히 가난한 사람이 보수층을 지지하는게 아니라 보수층을 지지하는 60대 이상이 경제활동에서 제외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저소득층으로 보일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자신의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가난을 소환하는 정치인들에겐 국민을 가난한 자와 가진 자, 이분법으로 나눈다는 비판이 있을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은 29일 “학력 저소득 층에 국민의힘이 지지자가 많다”고 해 논란이 일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해 “‘국민 갈라치기’ 망언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