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 도 자 료 |
|
보도 일시 |
2022. 3. 17.(목) 02:00 (2022. 3. 17.(목) 조간) |
배포 일시 |
2022. 3. 15.(화) 09:00 |
담당 부서 |
기초원천연구정책관 |
책임자 |
과 장 |
김보열 |
(044-202-4530) |
<총괄> |
기초연구진흥과 |
담당자 |
사무관 |
문영근 |
(044-202-4534) |
구리산화의 원리를 원자 수준에서 세계 최초 규명 |
- 산소진입 경로의 규명 및 산소가 스스로 산화를 막는 박막기술 개발, 네이처지 게재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정세영 교수(부산대학교)·김영민 교수(성균관대학교)·김성곤 교수(미시시피주립대학교) 연구팀이 마치 벽돌로 쌓은 담이 한 층의 높이를 나타내 듯 단원자층 수준의 거칠기*를 가진 초평탄 구리박막을 이용하여 구리의 산화 작동 원리를 이론과 실험에서 세계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 단원자층 수준의 거칠기: 벽돌로 담을 쌓듯이 박막은 원자를 하나씩 규칙적으로 쌓아 만들어지는데, 완성된 박막 표면에 들쑥날쑥한 높이를 표면거칠기라고 함
ㅇ 과기정통부 개인기초연구(중견연구) 및 집단연구지원(기초연구실) 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Nature)에 03월 17일 게재되었다.
□ 기존 연구에서 초평탄면을 갖는 박막의 실현은 어려운 주제였으나 연구진은 자체 개발한 방법*으로 단원자층 수준의 초평탄 구리박막을 구현하여 산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초평탄 금소단결정 박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박막 성장 장치로 ASE(atomic sputtering epitaxy)라 함. 기존 박막 성장장치를 순수 자체기술로 개조하여 초평탄 박막을 대면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으면서도, 장비 가격이 매우 경제적이어서 향후 고가의 박막성장 장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ㅇ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1년간 공기 중에 노출된 초평탄 구리박막을 관측한 결과, 일반적으로 구리표면에서 관찰되는 자연 산화막은 물론이고 원자 한층 수준의 산화조차도 관찰되지 않았다.
ㅇ 또한, 산소가 구리 내부로 들어가기 위한 에너지 변화를 계산한 결과, 표면 거칠기가 두 원자 층 이상일 경우 구리 내부로의 산소 침투가 쉽게 진행되는 반면, 완벽하게 평평한 면 이거나 단원자층 일 때는 산소 침투를 위해 매우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산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밝혔다.
ㅇ 이에 더하여 초평탄 박막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는 산소가 존재할 수 있는 자리의 50%가 차면 더 이상 다른 산소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밀어내어 산화를 억제하는 자기-조절 기능이 있음을 밝혔다.
□ 이번 연구는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구리의 산화 원인을 정확히 밝혔다는 점, 경제적으로는 나노회로 등에 사용되는 금을 구리 박막으로 전면 교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점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ㅇ 또한, 원자 한 층 수준의 박막을 성장하는 자체기술을 개발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으며,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진 구리에 의한 금의 대체는 경제적 이점 및 장비 소형화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정세영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구리 산화의 기원을 원자수준에서 규명한 세계 최초 사례”라며 “변하지 않는 구리의 제조 가능성을 열었다”라고 의미를 밝혔다.
<참고자료> : 1. 논문 정보 2. 연구이야기 3. 용어설명
4. 그림설명 5. 연구자 이력사항
|
담당 부서 |
기초원천연구정책관 |
책임자 |
과 장 |
김보열 |
(044-202-4530) |
<총괄> |
기초연구진흥과 |
담당자 |
사무관 |
문영근 |
(044-202-4534) |
<공동> |
기초원천연구정책관 |
책임자 |
과 장 |
김보열 |
(044-202-4530) |
|
기초연구진흥과 |
담당자 |
사무관 |
김주화 |
(044-202-4536) |
<담당기관> |
부산대학교 |
책임자 |
교 수 |
정세영 |
(051-510-7881) |
|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
|
|
|
|
논문 정보 |
□ 논문명
○ Flat-surface-assisted and self-regulated oxidation resistance of Cu(111) / Nature
□ 저자
○ 정세영 교수 (교신저자/ 부산대), 김영민 교수 (공동교신저자/ 성균관대), 김성곤 교수 (공동교신저자/ 미시시피주립대), 김수재 박사 (제1저자/ 부산대), 김용인 (공동제1저자/ 성균관대), Bipin Lamichhane (공동제1저자/ 미시시피주립대), 김영훈, 하태우 박사, 이영희 교수(성균관대), 이유실, 조채용 교수, 천미연 박사(부산대), 김종찬 교수, 정후영 교수(울산과학기술원), 김정대(울산대)
□ 내용 요약
○ 구리를 단결정으로 성장하는 기술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구리 박막 (thin film)을 단결정 (single crystal)으로 성장하는 기술은 세계적으로 전무하다. 왜냐하면 박막을 성장할 경우 많은 낟알경계 (grain boundary)등의 결함이나 거친 표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구리의 산화는 다결정구리 (polycrystalline)에 1 조 (1012)개 이상 되는 낟알경계와 거친 표면에서 무작위로 발생하기 때문에 제어되지 않는다.
○ 본 연구의 핵심은 이러한 1조개나 되는 낟알경계 등의 결함을 완벽하게 없애고 박막을 단결정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표면을 거칠기 0.2 nm 수준으로 제어함으로써 산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의 표면 거칠기 최고의 수준은 1.5 nm 수준이었으며 본 연구 결과는 기존 기술의 약 8 분의 1 수준의 정밀한 표면을 구현한 것에 해당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낟알경계와 거친 표면에서 산화가 잘 발생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으나 그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았다.
○ 원자들의 세계에서 평평하다고 하는 표현은 어느 정도의 평평함을 의미할까? 라는 질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1 nm 의 표면 거칠기도 세계적으로 한번도 구현된 바가 없는 매우 평평한 면이지만 이것도 원자 4층의 거칠기를 가지며 이는 원자 입장에서는 매우 거친 면이 된다. 그래서 원자 1층의 거칠기에 도전하게 된 것이 이 연구의 동기라고 할 수 있다.
○ 구리의 산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원자층 수준의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대면적 구리박막을 성장시켰다. “나노결정체 구리 박막은 결코 평탄면이 될 수 없다.”는 제목의 논문이 2017년 Science에 발표될 정도로 박막에서 구리의 초평탄면 실현은 어려운 주제였다. 연구진은 원자 스퍼터링 에피탁시 (atomic sputtering epitaxy:ASE) 방법을 사용하여 원자 한층 수준의 초평탄면을 갖는 박막을 성장하는데 성공하였다. ASE 방법은 기존의 RF 박막성장장치를 순수 자체기술로 개조하여 초평탄 박막을 대면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으면서도 성장속도가 빠르고 장비제조가격이 매우 경제적이어서 향후 금속 박막 분야에서는 MBE, PLD 나 ALD 등의 고가 장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초평탄 구리박막은 공기 중에 노출 후 1년이 경과하여도 표면에 원자 한층 수준의 산화조차도 관찰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구리표면에서 관찰되는 산화물인 Cu2O와 CuO가 전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제1원리 계산을 통하여 산소가 구리 내부로 들어가기 위한 에너지 변화를 계산한 결과, 표면 거칠기가 두원자층 이상 일 경우 구리 내부로의 산소의 침투가 발열반응으로 쉽게 진행되는 반면 완벽하게 평평한 면과 단원자층 일 때는 산소의 침투를 위해 매우 큰 흡열 반응을 요하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산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밝혔다.
○ 초평탄면 위에 앉은 산소이온들은 표면의 산소이온 점유도를 스스로 조절하여 5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스스로 산화를 억제하는 자기-조절 기능이 있음을 밝혔다.
연구 이야기 |
<작성 : 부산대학교 정세영 교수>
□ 연구 배경
현대 인간은 호모일렉트로닉쿠스로 불려질 정도로 전기와 뗄 수 없는 문명을 이루고 있다. 구리는 이러한 전기 문명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도체이다. 그러나 산화라는 치명적인 약점이 구리의 사용을 제한하여 초정밀 소재나 높은 신뢰성이 담보되어야 하는 회로에는 구리보다 전기전도성이 나쁨에도 가격은 훨씬 더 비싼 귀금속인 금이 사용되어왔다. 구리의 산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현상학적인 상태를 기술하거나 이론적인 예측만 보고되었다. 소재가 소형화되고 고집적화 될수록 충분한 사용시간 확보와 전원부의 소형화가 중요해지기 때문에 전도도가 높은 소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구리의 산화 문제 해결은 무엇보다 더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
□ 연구 내용
구리의 거친 부분에서부터 산화가 진행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최대한 표면상태가 좋은 박막을 만드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과제였다. “ 나노결정체 구리 박막은 결코 평탄면이 될 수 없다.”는 제목의 논문이 2017년 Science에 발표될 정도로 박막에서 구리의 초평탄면 실현은 어려운 주제였다. 연구진은 원자 스퍼터링 에피탁시 (atomic sputtering epitaxy:ASE) 방법을 사용하여 원자 한층 수준의 초평탄면을 갖는 박막을 성장하는데 성공하였다. 제조한 박막은 단결정 상태이면서 RMS 거칠기가 0.2 nm 이하인 초평탄면을 이루면서 공기 중에 오랜 시간 노출시켜도 산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표면이 단원자층 이내의 거칠기로 유지되고 있으면 산화로 인한 상전이가 없음을 관찰하였다. 제1원리 계산을 통해 표면상태에 따른 산소 침투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표면이 단원자층 이내의 거칠기로 유지될 때 산소가 박막 내부로 침투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함을 밝혀내었다. 또한 화학적 결합 없이 물리적으로 흡착된 표면의 산소점유도가 50%를 넘으면 척력이 발생하여 스스로 산화를 억제하는 자기-조절 기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
□ 기대 효과
구리가 사용되는 영역은 언급이 필요 없을 만큼 넓고 다양하다. 구리의 산화가 미치는 재료 산업에서의 영향은 계산이 불가능할 정도이며 이를 금으로 대체하고 있는 많은 영역들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나노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회로의 선폭이 작아지고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는 전도선의 산화는 더 심각한 문제인 반면, 초평탄 단결정 박막은 산화문제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적용 범위가 매우 넓다. 경제적으로는 구리 박막이 나노회로 등에 사용되는 금을 전면 교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구리의 전기전도도는 금보다 약 40% 우수하고 추가적으로 초평탄면을 갖는 단결정 구리 박막이 되면 일반 구리의 전도도보다 15 % 이상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 및 에너지 절감, 사용시간 연장, 장비의 소형화 등에 있어 그 경제적 부가가치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
용 어 설 명 |
1. 네이처(Nature) 지
○ 자연과학 분야 세계최고 권위 학술지(Impact Factor : 49.962)
2. 단결정 (Single crystal)
○ 물질 내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crystal이라고 부르며 그 물질 전체가 모두 한 방향으로 정렬된 경우 단결정이라 한다. 보통 다이아몬드나 루비처럼 투명한 보석들은 천연 단결정이고 인공적으로 단결정을 만들기도 한다.
3. 다결정(Polycrystalline)
○ 물질 내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영역이 수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물질 전체의 원자 배열이 한 방향이 아닌 경우. 대부분의 세라믹 물질이나 금속 덩어리 들은 다결정이거나 결정이 아닌 비정질 구조이다.
4. 낟알경계(Grain boundary)
○ 다결정에서 서로 다른 결정이 만나는 경계
5. ASE(Atomic Sputtering Epitaxy) 장치
○ ASE 장치는 초평탄 금소단결정 박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박막 성장 장치로써 atomic sputtering epitaxy의 약어이다. ASE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RF sputtering 장치를 기본으로 하였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며 쉽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E 장치의 핵심은 전기적, 역학적 진동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고 타겟에서 증착되는 원자들이 하나 하나 기판위에 순서대로 내려 앉도록 고안한 박막 단결정 성장 장비이며 현재 4인치 이상의 대면적 성장이 가능하고 장비를 개조하면 연속 성장이 가능하다.
그 림 설 명 |
|
[그림 1] 표면 거칠기에 따른 산소 침투 에너지의 변화 및 투과전자현미경 표면 분석
- 표면 원자계단의 개수에 따라 산소가 구리속으로 침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달라진다.
- 그림 A는 표면 원자계단이 한 층인 경우 산소침투는 흡열 반응이고 두층 이상인 경우 발열 반응을 함을 계산을 통해서 보여준다.
- 그림 B는 산소가 평탄한 구리 표면을 50% 이상 점유하면 스스로 산소를 밀어내는 자기-조절 기능을 가짐을 보이고,
- 그림 C 에서는 실제로 초평탄 면에는 산화면이 존재하지 않고 원자계단이 두 층 이상인 경우 산화층이 존재함을 실험적으로 보여준다.
그림설명 및 그림제공 : 부산대학교 정세영 교수
[그림 2] 구리산화에 대한 도식적인 모델
- 초평탄면(원자계단 한층)에서는 산소가 침투하지 못하고 원자계단 두층 이상에서는 산소가 침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설명 및 그림제공 : 부산대학교 정세영 교수
연구자 이력사항 |
<정세영, 교신저자>
1. 인적사항
○ 소 속 : 부산대학교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전 화 : 051-510-7881
2. 학력
○ 1987 – 1990 박사, Koelon 대학교 물리학 박사
○ 1983 – 1985 석사,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석사
○ 1977 – 1981 학사,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3. 경력사항
○ 1991 – 199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3 – 2014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 (첨단 융합전문 위원)
○ 2014 – 2016 부산대학교 나노과학기술대학 학장
○ 2006 – 현재 ㈜ Max-Crystal Lab. 대표이사
○ 1998 – 현재 부산대학교 단결정은행연구소 소장
○ 1991 – 2002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2003 – 현재 부산대학교 나노과학기술대학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
4. 기타 정보
○ 2005.04.15 부산과학상 수상 (부산시) (상금 1,000만원)
○ 2013.12.10 부산대학교 제1회 교육자상 수상 (상금 900만원)
○ 2016.10.20 한국물리학회 공로상 (부상: 금메달)
5. 연구지원 정보
○ 2017 ~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 2020 ~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기초연구실)
<김영민, 공동교신저자>
1. 인적사항
○ 소 속 :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 전 화 : 031-299-4059
2. 학력
○ 2005 – 2010 한국과학기술원 박사 (재료공학)
○ 1999 – 2001 서울대학교 석사 (재료공학)
○ 1991 – 1999 강원대학교 학사 (재료공학)
3. 경력사항
○ 2010 – 2013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2002 – 20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연구원
○ 2016 – 현재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교수
4. 기타 정보
○ 2004 과학기술부 장관 표창
○ 2004 기초기술이사회장 표창
○ 2014 대전시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5. 연구지원 정보
○ 2020 ~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기초연구실)
○ 2020 ~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김성곤, 공동교신저자>
1. 인적사항
○ 소 속 : 미시시피주립대학 천체물리학과
○ 전 화 : 1-662-325-8031
2. 학력
○ 1994 미시건주립대학교 박사 (물리학)
○ 1988 미시건주립대학교 석사 (물리학)
○ 1986 서울대학교 학사 (물리학)
3. 경력사항 (수상경력 포함 가능)
○ 1994 – 1998 미국 퍼듀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2013 – 현재 미시시피주립대학교 물리천문학과 교수
○ 2011 – 현재 미시시피주립대학교 Center for Computational Sciences, High Performance Computing Collaboratory 소장
○ 2015 – 현재 성균관대학교 CINAP 초빙교수
○ 2015 – 현재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공학과 방문교수
<김수재, 제1저자>
1. 인적사항
○ 소 속 : 부산대학교 단결정은행연구소
○ 전 화 : 051-510-7881
2. 학력
○ 1999-2003 박사, 부산대학교 물리학 박사
○ 1996-1998 석사,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석사
○ 1989-1995 학사,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3. 경력사항
○ 2004 ~ 2005 일본 오카야마대학 박사후연구원
○ 2005 ~ 2006 일본 히로시마대학 박사후연구원
○ 2006 ~ 2012 부산대학교 연구교수, 계약교수
○ 2012 ~ 2016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7 ~ 현재 부산대학교 단결정은행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