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회의 구석구석 실상이 어떤지에 관해서는 다양한 말들이 오갈 수 있고, 또 어느 사회든
실망스러운 부분이 많이 있겠지만, 그럼에도 최소한의 형식과 명목상의 필수 요건이라는 것이 시대에 따라 있기 마련인데,
이 시대에 왕조를 내세우는 나라가 이렇게 많고, 또 그런 것을 마치 대단한 전통인양 자랑하듯 하는 국가가 이다지도 않은 것은,
사실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실제 한 사회의 현실, 혹은 사회 약자들의 삶, 혹은 사회의 어두운 이면 부분... 이런 것들이야 어느 사회를 가도 뼈아픈 부분이 존재하겠지만,
최소한의 시대적 명분과 가치 기준에도 못 미치는 사회 기초 부분, 명목적인 부분을
한 나라의 법과 제도 상의 핵심으로 내세우면서 전통을 자랑하듯 하는 억지스럽고 고약한 부분에 대해
언론과 시민 사회는 강력히 규탄하고 저항해야 한다.
* 물론 이번 장례식에 한국 포함 각국 정부의 외교 행위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고,
어쩔 수 없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국가 외교적으로는 전혀 다른 문제임을 인정하고, 국가의 대외 관계, 이익을 위해
시민사회는 충분히 이해해야 하고, 그런 부분에 대해 말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하지만 언론이나 시민사회는 뭔가 목소리를 내어야 하는 면이 있다고 봅니다.
...... [2022-09-12] IIS 지식정보네트워크.
서울경제
홈 국제 정치·사회
호주·뉴질랜드, 찰스3세 국가원수 선포했지만…'영연방' 앞날은 먹구름
[영국 여왕 서거]
입력2022-09-11 15:40:26 수정 2022.09.11 15:40:26
김태영 기자
영국과 영국의 옛 식민지 모임인 영연방의 결속력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서거를 계기로 시험대에 올랐다. 호주, 뉴질랜드 등 일부 ‘영연방 왕국’ 국가들은 즉각 찰스 3세를 새 국가원수로 선포했지만 일각에선 차제에 공화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특히 영국이 과거 자행했던 노예 무역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은 자메이카 등을 중심으로 군주제 폐지 여론이 불붙고 있다.
데이비드 헐리(왼쪽부터) 호주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11일(현지시간) 호주 캔버라 의회에서 찰스 3세 국가원수 선포 기념식을 열고 있다. EPA연합뉴스
뉴질랜드·호주, 찰스 3세 국가원수 선포…"관계 더 깊어질 것"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이날 의회에서 기념식을 열고 아던 총리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70년간 뉴질랜드 국민들을 위해 복무했다"며 "뉴질랜드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온 찰스 3세의 즉위로 뉴질랜드와 영국의 관계가 더 깊어질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호주에서 영국 국왕의 지위를 대리하는 데이비드 헐리 호주 총독 또한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찰스 3세를 국가원수로 선포했다. 앞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애도하기 위해 9월 22일을 국경일로 지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호주에선 여왕의 서거 소식이 전해진 직후 애도를 표하는 조기가 게양됐다. 의회는 15일간 중단하기로 했다.
윌리엄 영국 왕세자 부부가 왕세손 부부 시절이던 지난해 3월 자메이카를 방문해 자메이카 총참모장 안토니 웨미스 고먼과 인사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바베이도스, 지난해 ‘영연방 왕국’ 탈퇴…앤티가 바부다·자메이카도 ‘시동’
호주와 뉴질랜드가 이처럼 발빠르게 반응한 것은 영국 국왕을 상징적인 국가원수로 인정하는 '영연방 왕국(Commonwealth realm)'이기 때문이다. 영국과 영국의 옛 식민지 56개국은 영연방 연합체에 소속돼 있는데, 이 중 15개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앤티가 바부다·바하마 등)은 영연방 왕국으로 별도 분류돼 왕실을 대리하는 총독을 두는 등 영국과 보다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군주제의 당위성에 대한 회의론, 영국이 자행했던 식민 지배에 대한 비판론이 커지면서 공화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주기적으로 나오고 있다. 지난해 카리브해의 섬나라 바베이도스가 독립 55년 만에 대통령을 선출하며 공화정을 수립, 더는 여왕을 국가원수로 모시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 대표적이다.
공화제 전환 움직임은 영연방의 강력한 구심점으로 기능했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서거를 계기로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당장 영연방 왕국의 일원인 앤티가 바부다가 공화제 전환을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마찬가지로 영연방 왕국 소속인 자메이카 역시 새 국왕을 임명하기 위해 국민투표가 필요한 만큼 공화정 전환 논의가 불붙을 전망이다. 지난해 자메이카는 과거 영국인 노예 소유주들이 아프리카인 60만 명을 강제 이송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영국 정부에 보상을 요구한 바 있다.
호주 케언즈의 크리켓 경기장에 11일(현지시간)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서거를 추모하는 사진이 걸려 있다. AFP연합뉴스
캐나다인 67%, “찰스 3세 국가원수 인정 못해”…호주선 “인종차별 제국 지도자 애도라니”
전환 목소리는 영연방 왕국의 대표 국가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에서도 작지 않다. 비영리 설문조사기관인 앵거스리드연구소의 올 4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 중 51%는 영국 국왕을 앞으로 몇 세대 동안 국가원수로 지정하는 것에 대해 반대했다. 영국인 국가원수를 찬성하는 비율은 26%에 불과했다. 더 나아가 찰스 3세를 국가원수로 인정할 수 없다는 비율은 67%에 달했다.
호주 연방의회의 제3당인 녹색당의 애덤 밴트 대표는 9일 트위터에 "여왕의 가족과 여왕을 사랑한 모든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한다”면서도 “호주는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원주민들과의 조약이 필요하며 공화국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파키스탄 출신의 메흐렌 파루치 녹색당 의원은 더 나아가 "약탈당한 생명과 땅, 식민지 사람들의 재산 위에 세워진 인종차별 제국의 지도자를 애도할 수 없다"고 역설하기도 했다. 가디언은 "찰스 3세의 즉위는 영국 왕실이 21세기에 영연방 왕국에서 국가원수로서의 자격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관련태그
#영국, #영연방, #엘리자베스2세, #찰스3세
구독
김태영 기자
국제부
youngkim@sedaily.com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B17ISS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