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전후 꽤 오랜 시간 동안 호텔 측의 태도는 정말 이해하기 힘듭니다.
엄청난 인파가 오랜 시간 동안 그렇게 미어터지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사고가 나고 수습하고 그러는 동안
호텔 측 쪽문 하나만 열렸다면, 상황은 드라마틱하게 달라졌을 것입니다.
정말 이상합니다.
......[2022-11-13] IIS 지식정보네트워크.
중앙일보
[단독]그날 '생명문'인데…해밀톤호텔 비상문은 끝내 안열렸다
입력 2022.11.13 11:00
업데이트 2022.11.13 11:36
업데이트 정보 더보기
함종선 기자
구독
이태원 해밀톤호텔과 바로 옆 도로(골목길)를 잇는 '직통계단'.철제 여닫이 문이 설치돼 있다. 함종선 기자
지난달 29일 밤 이태원 참사가 벌어지던 그 골목길에서 해밀톤호텔 옆 계단과 계단 위 공간은 작은 피난처였다. BJ(인터넷방송인) 배지터가 생방송 했던 당시 현장 영상을 보면 배지터는 사람들이 꼼짝달싹 못 하던 그 골목에서 누군가의 어깨를 딛고 계단 위 공간으로 올라갔고, 그곳에서 5~6명의 사람을 끌어올렸다. 그 공간도 좁아지자 배지터를 향해 “야 그만 올려"라고 소리치는 남성의 목소리도 들린다.
지난 11일 오후, 경찰이 참사가 일어났던 곳에 설치했던 폴리스라인을 치운 직후 그 골목길로 가 호텔 옆 계단 주변을 살폈다. 골목길과 연결되는 계단 시작 지점엔 철제 여닫이문이 있고, 그 문에는 '직원 외 출입금지'라는 문구가 붙어있다. 계단 위 공간에는 호텔과 연결되는 철문이 있는데 굳게 닫힌 그 문에도 역시 직원 외 출입을 금한다는 표시가 있다.
해밀톤호텔 직통계단 위 철문. 용산소방서에 따르면 이 철문은 밖에서 당길 때 열려야하는 비상문인데, 굳게 닫혀 있다. 밧줄을 힘껏 잡아당겨도 열리지 않는다. 함종선 기자
철문 문고리에는 밖에서 열 수 있게 밧줄이 묶여있다. 11일 현장을 찾았을 때 닫혀있던 그 철문이 참사 당시에도 닫혀있는지는 아직 공식적으로 확인이 안 된다.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수본 관계자는 "해밀톤호텔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하기 전이라 그 부분은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다만 용산소방서 측은 "그 문을 통해 사람들이 호텔 안으로 피신했다는 기록은 없다"며 잠겨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배지터의 현장 영상을 보면 계단 위 공간은 그가 처음 올라갔을 때만 해도 여유가 있었다. 그 철문이 잠겨있지 않았다면 밖으로 열 공간은 있었던 셈이다. 그런데 그 공간까지 미어터져 "그만 올리라고"라는 소리가 나올 때까지 철문이 열리지 않은 것을 볼 때 잠겨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영상에는 철문에 기대 망연자실해 하는 여성도 보인다.
지난 29일 이태원 참사 당시 호텔 옆 연결계단 위로 구조된 BJ 배지터 모습. 공간에 여유가 있다. 아프리카TV 영상 캡처
만약 그 철문이 열렸다면 어땠을까.
중앙일보 취재 결과 그 계단은 비상시 막힘없는 대피를 위한 용도였고, 그 철문은 호텔과 계단을 이어주는 문이었다. 용산소방서 관계자는 “건축법상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직통계단’이고, 그와 연결된 철문은 비상문”이라고 말했다.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비상문을 폐쇄하거나 잠그는 행위는 불법이다.
지난 2017년 비상문이 잠긴 탓 등으로 인해 29명이 숨진 제천스포츠센터 화제 이후 일선 소방서들이 '비상문=우리 모두의 생명문'이라는 스티커를 작성해 대대적인 캠페인을 할 정도로 비상문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형건물인 해밀톤호텔의 비상문과 비상계단 관리는 제대로 안 돼 있었던 셈이다.
물론 비상문과 직통계단 등은 건물 내부의 사람들을 위한 시설물이다. 하지만 ‘안에서 밖으로 밀 때 열리고 밖에서 당길 때 열리는’ 비상문 규정이 제대로 지켜졌고, 밖에서 사람이 문을 당겨 호텔 안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면 해밀톤호텔의 비상문은 그 골목길의 ‘생명문’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직통계단과 통하는 공간. 원래 골목길 아래쪽에도 같은 크기의 공간이 있었는데, 현재는 호텔이 설치한 '분홍철벽'이 그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함종선 기자
직통 계단 입구에 있는 철제 여닫이문도 불법이다. 포털사이트의 로드뷰를 보면 2015년까지는 여닫이문이 없었으나 2017년 이후에는 계속 있다.
배지터의 영상을 보면 30분 이상 비상상황이 이어진다. 그 사이에 소방서 측에서 호텔 철문을 열게 할 순 없었을까. 용산소방서 관계자는 "현장에서 워낙 시급한 상황이어서 그 부분까지는 생각하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법 규정대로 철문이 열려있었다면 많은 사람이 호텔을 통해 안전하게 밖으로 나올 수 있었을 것이고, 결과적으로 사상자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모 대학의 소방방재학과 겸임교수는 “안전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도 무시하는 ‘안전불감증’ 때문에 피해가 커진 것”이라며 “호텔과 관할 관공서들 간에 안전을 저해할 수 있는 유착관계가 없었는지도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함종선 기자 ham.jongs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