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양수) 檢, 식약처 압수수색… 文정부 `코로나 치료제·백신` 사업 캔다 ...[2023-01-13]

by viemysogno posted Jan 13,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디지털타임스

 

檢, 식약처 압수수색… 文정부 `코로나 치료제·백신` 사업 캔다

 

 

 

전 정부, 3년간 14곳 4127억 지원

'셀트리온·SK바사'만 신약 개발

임상 돌입만으로 주가상승 효과

백신허가 과정 등 들여다보기로

 

 

 

박양수 기자

입력: 2023-01-12 18:22

 

 

 

檢, 식약처 압수수색… 文정부 `코로나 치료제·백신` 사업 캔다

사진=연합뉴스

 

 

 

 

검찰이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하는 등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등과 관련해 의약품 임상 시험승인 과정에서의 주가조작 등 불법 행위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제약·바이오 업계와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는 이날 오전부터 식약처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번 압수수색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등 임상지원 사업과 연관된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정부는 코로나19 진단업체,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업체들을 'K바이오'의 주역으로 꼽고, 적극적인 지원을 해왔다.

 

2020년부터 국가신약개발사업을 통해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임상지원 사업'을 이끌어왔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3년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비용 지원을 위해 모두 4127억원(치료제 1552억원, 백신 2575억원)을 책정했다.

 

지원 대상 기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3개 부처가 모여 출범시킨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를 통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비용을 지원받았다.

 

치료제 개발사로는 셀트리온, GC녹십자, 대웅제약, 동화약품, 샤페론 등 5개사가 지원 대상이 됐다. 백신 개발사로는 SK바이오사이언스, 제넥신, 진원생명과학, 셀리드, 유바이오로직스, 큐라티스, HK이노엔, 아이진, 에스티팜 등 9개사가 정부 지원을 받았다.

 

그 과정에서 일부 진단업체와 치료제 개발 업체들이 주가조작 혐의 또는 소액주주와의 법정 공방에 시달렸다. 관련 업계에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 과정에서 '임상 돌입'이나 후보 물질만으로도 주가가 급등했다.

 

하지만 실제 백신 개발에 성공한 업체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일부 업체들은 쓰이지 않는 치료제를 개발하거나 개발 진행 중이고, 중도 하차한 기업이 대부분이다.

 

예컨대 일양약품의 경우 코로나19 비임상 연구를 부풀려 주가조작을 한 혐의에 대해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의 조사를 받았다.

 

일양약품은 지난 2020년 3월 백혈병 치료제인 '슈펙트'가 코로나19 치료에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하고 임상에 돌입했다가 이듬해 3월 임상 결과 효능을 입증하지 못해 개발을 포기했다. 발표를 전후해서 일양약품의 주가는 2만원대에서 10만6500원까지 뛰기도 했다.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치료를 목적으로 임상을 승인받은 곳은 28곳이다. 이 중 개발 중단을 선언한 곳은 일양약품, GC녹십자, 부광약품, 종근당, 크리스탈지노믹스, 셀트리온, HK이노엔, 제넥신 등이다. 코로나19 치료제인 렉키로나주를 개발한 셀트리온의 경우 자체 개발해오던 흡입형 칵테일 치료제 개발을 중단했다. 코로나19의 엔데믹화로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게 그 이유였다.

 

정부의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임상지원 사업은 올해부터 예산 배정이 되지 않아 사업이 종료된다. 코로나19 상황이 사실상 '엔데믹(풍토병)' 국면으로 접어드는데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중단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 입장에선 환자 수 감소로 인해 임상시험을 위한 환자 모집이 어려워졌고, 설사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성공해도 시장성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커졌다.

 

일부 업체들이 여전히 '국산 2호 코로나 백신·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임상과 상용화에 매달리고 있지만, 환자 모집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발 포기를 선언할 기업이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