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프로필 보기
美·유럽에 비해 '끼리끼리 결혼' 덜하는 韓, 소득불평등 낮춘다
김경희 기자
별 스토리 • 어제 오후 6:01
사진 pixabay
© 제공: 중앙일보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끼리끼리 결혼(소득동질혼)’ 경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이 비슷한 사람끼리 결혼할 것이라는 통념과는 다른 조사 결과다. 한국은 고소득자 남성이 저소득 여성과, 저소득 남성이 중위소득 여성과 결혼하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 이는 가구 단위의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박용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차장, 허정 한은 금융안정국 안정분석팀 조사역은 19일 ‘소득동질혼과 가구구조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소득동질혼 지수는 1.16배로 34개 분석대상국(평균 1.6배) 중 최하위다.
전체 부부가구 부부 근로소득 간 소득동질혼 지수. 사진 한국은행
© 제공: 중앙일보
연구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를 포함한 주요국의 불평등 순위를 가구소득 형성단계별로 살펴봤다. 그 결과 한국의 '개인 근로소득' 지니계수는 0.547로 주요국 평균(0.510)보다 높았으나 '가구 근로소득' 지니계수는 0.361로 주요국 평균(0.407)보다 낮았다. 지니계수가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불균형이 적고 1에 가까우면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개인 근로소득' 불평등은 28개국 중 8위로 높은 편이지만, '가구 근로소득' 불평등은 24위로 대폭 낮아졌다. 그만큼 결혼을 통해 소득을 공유하면서 주요국에 비해 가구 단위의 소득불평등이 완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박용민 차장은 “가구 내 소득공유 효과가 큰 이유는 한국의 소득동질혼 경향이 다른 나라보다 약하기 때문”이라며 “즉 소득과 상관없이 무작위로 하는 ‘제비뽑기 결혼’에 더 가까운 편”이라고 설명했다.
자료 한국은행
© 제공: 중앙일보
남편과 아내의 소득분위별로 비교해봐도, 한국에서 소득10분위인 고소득 남녀가 '끼리끼리' 결혼할 확률이 ‘제비뽑기 결혼’의 2.2배인 반면 다른 주요국은 3배로 더 높았다. 소득 최하위인 남녀의 결혼 비율은 한국은 1.2배로 주요국(1.9배)에 비해 낮았다. 또 가구구조로 보면 소득을 공유하지 않는 1인 가구와 한부모 가구 비중이 각각 14.7%·4%로 주요국(22.6%, 7.4%)에 비해 낮았다.
이러한 탈(脫)소득동질혼 경향과 가구구조 특성은 한국의 가구소득 불평등 수준을 10% 낮춘 것으로 추산된다. 만약 스웨덴·덴마크 등 북유럽처럼 소득수준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결혼한다고 가정하면 한국의 가구소득 불평등 수준은 1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요국에 비해 정부의 세금 지원 등 재분배정책이 가구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데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왜 이같은 결혼 양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해선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박용민 차장은 “미국은 1970년대 이후 여성의 경제활동이 늘면서 소득동질혼이 강화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한국도 급격한 출산율 하락으로 남녀 분업의 이점이 줄어들 경우 고소득 남성 배우자를 둔 여성의 취업률이 상승해 가구 소득 불평등이 더 심화할 수 있다. 노동시장의 불평등을 줄이고 공적인 불평등 완화 체제를 갖춰나가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