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中 빈자리 한국 아닌 대만이 채웠다" 미중 갈등에 반도체 최대 수혜
장민권
별 스토리 • 2시간 전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 제공: 파이낸셜뉴스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
[파이낸셜뉴스]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산 비중은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빈 자리는 대만, 베트남이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며 반도체 생산기지로서 입지를 강화했다. 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소폭 늘어났다.
대만, 美 반도체 시장 점유율 1위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을 대상으로 주요국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11.7%로, 2018년(30.7%) 대비 18.5%p 하락했다.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점유율 1위를 줄곧 유지했지만 2018년 이후 하락하기 시작해 2022년 4위로 떨어졌다.
반면 대만(9.7%p), 베트남(7.3%p)은 점유율이 상승했다. 대만의 점유율은 2018년 9.5%에서 2022년 19.2%로 2배 늘어나며 4위에서 1위로 순위가 올랐다.
한국도 1.8% 상승했지만 그 폭은 비교적 소폭에 그쳤다. 2017~2018년 메모리 호황의 수혜를 본 한국의 점유율은 2017년 3위로 올라선 이후 중국의 입지 약화로 2022년 3위를 유지했다. 한국과 대만을 비교하면, 2018년 한국의 점유율이 대만을 1.3%p 상회했지만 최근 대만의 점유율 급상승으로 2022년 한국이 대만을 6.6%p 하회하며 양국 간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美 규제로 中 생산 어려움 겪어
미국은 국가안보 및 자국 공급망 강화를 내세우며 2018년부터 대중 수입 관세 부과 및 중국 기업에 대한 수출 제한 등 다양한 규제를 적용했다.
대중 수입에 대해 2018년 3차례에 걸쳐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2019년에도 이 기조를 이어갔다. 같은 기간 미국은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이용해 만들어진 부품·장비 등의 대중 수출 제한을 실시했다. 그 영향으로 제재를 받은 중국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 및 반도체 역량 강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중국의 입지 약화를 기회로 점유율을 늘리며 반사이익을 누렸다.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18년∼2022년 96억 7000만달러(-58%) 감소했다. 같은 기간 대만 수입액은 75억 6000만달러(327%) 증가했다. 베트남 수입액은 35억 1000만달러(4038%) 증가했다. 한국 수입액은 25억 8000만달러(52%) 증가하며 중국의 공백을 신속하게 대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2018년∼2022년 컴퓨터 등의 부품은 중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하락에 15.0%p 기여한 반면 대만, 베트남, 한국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상승에 각각 6.8%p, 3.5%p, 1.0%p 기여해 해당 품목이 미국 반도체 수입구조 재편에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만과 베트남은 미국의 반도체 수입시장 중 고성장하는 품목에서의 입지 강화를 통해 점유율 확대를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의 ‘기타 전자집적회로’ 품목 수입은 2018년 85억 3000만달러에서 2022년 151억 3000만달러로 77% 늘었다. 이 중 대만 수입액은 18억 4000만달러에서 40억 3000달러로, 119% 급증하며 대만의 미국 수입시장 점유율 확대에 1.6%p 기여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우리 정부가 첨단전략산업 시설투자 세액공제 확대, 투자 인허가 처리 신속화 등 국내 투자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는 만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활용해 국내 반도체 생산기반을 강화하고 반도체 수출 품목을 다변화하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