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새 반도체 전선은 유럽”…인텔·TSMC 보조금 받아, 삼성은
이희권 기자
별 스토리 • 어제 오후 6:29
지난해 2월 유럽 반도체 생산 확대를 위한 법안을 설명하는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로이터
지난해 2월 유럽 반도체 생산 확대를 위한 법안을 설명하는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로이터
© 제공: 중앙일보
지난해 2월 유럽 반도체 생산 확대를 위한 법안을 설명하는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로이터
동아시아·미국에 이어 유럽이 반도체 전선(戰線)으로 떠오르고 있다. 유럽이 최고 수준의 자국 반도체 장비·차량용 반도체 기업들을 앞세워 글로벌 공급망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이후, TSMC와 인텔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잇따라 이 지역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확정하면서다. 유럽연합(EU)까지 반도체 패권을 노리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 셈법이 더 복잡해졌다.
━
인텔, 사상 최악 적자에도 유럽 ‘올인’
유럽 ‘반도체 부활’의 주요 파트너는 인텔이다. 18일(현지시간) 이 회사는 250억 달러(약 32조원)를 투자해 이스라엘에 새 반도체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해외 기업의 이스라엘 투자 역사상 최대 규모다. 이스라엘은 중동에 있지만 사실상 유럽 반도체 공급망의 일원으로 분류된다. 앞서 인텔은 800억 유로(약 112조원)를 투자해 유럽 각지에 최첨단 반도체 공장과 연구 시설을 세우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인텔 이스라엘 공장은 2027년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인텔 로고. 연합뉴스
인텔 로고. 연합뉴스
© 제공: 중앙일보
인텔 로고. 연합뉴스
인텔은 이미 아일랜드와 독일에서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폴란드에 반도체 생산·테스트 시설, 이탈리아에 첨단 반도체 패키징·조립 공장을 세울 계획이다. 프랑스와 스페인에는 연구·개발 센터를 짓는다.
PC용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며 한때 ‘반도체 제왕’으로 불렸던 인텔은 2000년대 이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와 메모리 반도체,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따라가는 데 실패하며 추락했다. 올 1분기에는 저조한 판매 실적 속에서 투자 규모를 늘리며 분기 기준 역사상 최대 손실(27억6000만 달러·약 3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 제공: 중앙일보
박경민 기자
━
반도체 생산 공장 필요한 유럽
인텔과 유럽은 과거의 영광을 뒤로하고, 다시 후발주자로 출발선에 섰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해관계도 맞아떨어졌다. 유럽은 ASML(네덜란드), IMEC(벨기에)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장비 기업과 첨단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급성장 중인 전력 반도체와 차량용 반도체 시장도 NXP(네덜란드), 인피니온(독일),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스위스) 등 유럽 업체들이 이끌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들 회사가 일부 분야에 한정된 데다 최첨단 공정 기술 부족으로 결국 삼성전자나 TSMC에 생산을 맡길 수밖에 없는 ‘반쪽짜리’ 기업인 것을 약점으로 꼽는다.
이에 EU는 자국 반도체 생태계의 ‘마지막 퍼즐’인 첨단 반도체 생산 시설을 역내에 구축하겠다는 승부수를 던졌다. 파운드리 사업을 재건하려는 인텔의 대규모 투자 역시 생산 부문에 집중될 전망이다. 업계는 인텔이 메르세데스 벤츠, BMW, 보쉬 등 유럽 전장 부품 업체와 거래에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
“돈 없다”던 독일, 결국 보조금 늘렸다
마지막 관문으로 꼽힌 보조금 문제도 해결되는 모습이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당초 인텔에 지원하기로 한 68억 유로(약 9조5000억원)보다 더 큰 규모의 최대 100억 유로(약 14조원)를 지원하는 합의안에 사실상 동의했다.
TSMC 로고. 연합뉴스
TSMC 로고. 연합뉴스
© 제공: 중앙일보
TSMC 로고. 연합뉴스
TSMC 역시 최근 독일 정부와 보조금 수준을 두고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TSMC는 독일 드레스덴에 100억 유로(약 14조원) 규모의 반도체 공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앞서 독일 정부는 인텔과 TSMC의 추가 보조금 지급 요청에 대해 “더는 돈이 없다”며 거절 의사를 밝혔지만 유럽의 반도체 부활을 위해 결국 입장을 바꾼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경계현 반도체(DS)부문장(사장)이 최근 이스라엘 텔아비브, 독일 뮌헨과 슈투트가르트, 스위스 제네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등 유럽 지역을 찾아 현지 사업 현황을 점검했지만 아직 반도체 공장 설립 계획을 밝힌 바 없다. 한국과 미국 양쪽에서 초대형 반도체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데다 유럽에 첨단 공정을 활용할 만한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유럽은 설비나 인력 수준이 높지만 그만큼 비용도 많이 들어 공장을 짓기에 적합하지 않은 곳으로 꼽혀왔다”며 “최근 막대한 보조금 발표는 어떻게든 반도체 생산거점을 확보하겠다는 유럽의 의지가 그만큼 강하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이희권 기자 lee.heekwon@joongang.co.kr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