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유통
식품
“가격 인하 대신 증량”... 오리온 버티기 이유는 ‘허인철式 전략’
단순 가격 인하보단 고차원 방식
공장 가동률 높아지고 원가도 낮아져
판매 부진하면 재고 쌓이고 정부 요청에도 소극적 평가
증량 고민 배경엔 “재무통 허인철 부회장 전략 있어”
연지연 기자
입력 2023.06.29 06:09
식품업체가 줄줄이 가격인하에 나선 가운데 제과 1위 기업인 오리온(120,700원 ▼ 3,100 -2.5%)만 가격을 못 내리겠다고 버티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제과업계에서는 형편이 가장 좋은 오리온의 가격 인하 여력이 가장 높은데도 가격을 내리지 않는 것에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농심을 비롯한 라면 업체들이 13년만에 가격을 인하한 것은 급격한 물가 상승에 따른 서민들의 고통을 분담하자는 정부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영업이익률이 3%대인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와 해태제과가 가격인하에 동참한 가운데, 지난해 15%의 영업이익률을 낸 오리온은 가격 인하 대신 과자의 내용량을 늘리는 방향을 고심 중이다.
허인철 오리온 부회장/조선DB
허인철 오리온 부회장/조선DB
허인철 오리온그룹 부회장이 신세계에서 오리온으로 자리를 옮긴 2014년 이후 약 10년간 오리온은 소비자 판매 가격을 바꾸는 대신 중량을 늘리고 줄이는 방식으로 이익률을 개선해 왔다.
중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내면 공장가동률을 높일 수 있다. 음식료품 제조를 담당하는 국내 오리온 공장의 지난해 평균 가동률은 59%, 포장재를 제조하는 안산공장의 평균 가동률은 42%였다.
공장가동률을 높이면 재무적으로 봤을 때 설비를 효율적으로 쓰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다. 제품가격을 무조건 낮추고 영업이익이 줄어드는 것보다 훨씬 재무적 평가를 좋게 받을 수 있다.
또 제조원가가 내려가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원재료를 구입할 때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고 공장 가동 비용을 분산시킬 수 있어서다.
다만 판매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제품 끼워팔기나 할인율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양날의 칼이기도 하다. 이런 경우엔 차라리 제품 가격을 일부 낮추는 것으로 정부의 요청에 응답하는 편이 낫다는 게 제과업계의 평가다.
제과업계 관계자는 “판매만 수월하게 이뤄진다면 소비자 이익에도 좋고 회사 차원에서도 좋은 의사 결정이지만 물가가 부담스러울 땐 중량을 늘리는 것보단 가격을 낮추는 편이 낫다는 게 통상적 전략”이라고 했다.
판매가 부진할 경우 정부 요청에 소극적으로 응대하는 것으로 비춰지고 실리도 찾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오리온이 이번에도 중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란 전망이 대두되는 이유는 오리온의 가격 인하 고민 시기가 길어지고 있어서다. 허인철 부회장은 실리와 명분을 모두 챙기는 방식을 취해왔다.
허 부회장이 2014년 오리온으로 적을 옮기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첫 번째 성과도 오리온의 착한 포장 프로젝트였다. 불필요한 포장을 줄이는 대신 내용물을 늘리겠다는 뜻에서다.
당시 오리온은 21개 제품 포장재의 빈 공간 비율을 낮추고 크기를 줄이는 1차 포장재 개선을 하면서 포카칩 중량을 10% 늘렸고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시장을 공략했다.
2014년 9월 포카칩 생산분부터 오리온은 60g 제품을 66g으로, 124g 대용량 제품을 137g으로 증량했다. 반면 봉지 내 질소 충전량은 35%에서 25%로 줄였다.
반대로 중량을 줄인 경우도 있다. 지난해 3월 오리온은 초콜릿바 ‘핫브레이크’의 가격(1000원)을 유지하되 용량은 기존 50g에서 45g으로 5g 줄여 판매했다. 실질적으로 가격인상 효과를 본 셈이다.
제과업계 관계자는 “살림살이가 더 팍팍한 롯데웰푸드나 해태제과가 제품 가격 인하에 동참하는 가운데 오리온만 시간을 끌고 있다”며 “오리온이 다른 계산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리온 관계자는 “다른 업체 대비 뒤늦게 가격을 올렸고 60개 제품 중에서 16개 제품에 대해서만 가격을 올렸기 때문에 당장 가격 인하를 검토할 상황은 아니다”고 했다.
연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