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비즈
정책
빵·면 만드는 국산밀에 등급 매긴다… “기업이 국산 쓰도록 유도”
밀 품질 따져 등급별 수매하는 정부
가격 경쟁력 떨어지자 ‘품질로 승부’에 초점
식량안보 강화에 총력… 밀 공공비축량 늘린다
세종=김민정 기자
입력 2023.08.04 11:00
지난달 2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이 밀가루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
지난달 2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이 밀가루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
정부가 국산밀의 등급을 보다 정확히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기존에는 밀의 외관에 따라 등급을 나눴는데, 이제는 쌀을 품질별로 분류하는 것처럼 밀의 속까지 들여다보고 품질을 따지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고품질의 국산밀을 수매(收買)해 기업이 ‘프리미엄 국산밀’을 사용한 제품을 만들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국산밀을 수매하는 과정에서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는 중이다.
정부는 그동안 국산밀을 ‘양호’ 또는 ‘보통’으로 분류했다. 깨진 밀이 있는지, 밀 이외의 곡물이 섞여 있는지 등 겉으로 보이는 상태를 보고 분류했다.
앞으로는 밀의 수분이나 밀도 등을 따져 1·2·3등급으로 분류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밀의 외관에 따라 분류하는 것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품질별로 구분할 지표를 새로 만드는 것”이라며 “빵이나 면 등 음식 종류별로 사용되는 밀이 다른데, 어떤 밀을 쓰면 되는지 바로 알 수 있도록 분류하는 방법을 찾으려 한다”고 말했다.
식품업계는 대부분 수입 밀을 사용해 제품을 만든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원곡 기준 수입 밀은 1kg당 400원이다. 국산밀은 974원으로 가격이 2배를 넘는다.
국산 밀가루를 판매하거나 국산밀을 이용해 빵을 만들어 파는 기업들은 국산밀이 농약과 방부제를 거의 쓰지 않아 건강하다는 점을 내세운다. 국산밀은 수입 밀보다 운송 거리가 짧아 탄소 배출량이 적은 만큼 환경친화적이라는 점도 장점이다.
정부는 수입산 밀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국산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품질 기준을 높여 밀을 매입하고, 기업이 고품질의 국산밀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광주시가 이달 초 공공비축용으로 수매한 국산 밀. /뉴스1
광주시가 이달 초 공공비축용으로 수매한 국산 밀. /뉴스1
한편 정부는 밀 재배면적을 늘리고 공공비축량을 늘리는 등 국산밀 생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밀 가격이 폭등하면서 식량안보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25일 러시아의 흑해곡물협정 파기로 전 세계 곡물 가격이 최고 15%가량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올해 밀 재배면적은 12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밀 재배면적은 1만1600㏊(헥타르)로 전년(8259㏊)보다 40.5%(3341㏊) 증가했다. 국산밀 재배면적이 1만1000㏊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11년(1만3044㏊) 이후 12년 만이다.
농식품부는 국산밀 산업 육성을 위해 2021년 ‘밀 산업육성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실행 중이다. 시행 전인 2020년(5224㏊)과 비교하면 재배면적은 122.1% 늘었다. 밀 산업 육성법은 밀 전문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정부 수매를 확대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는 밀 생산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공공비축량도 확대하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산밀 비축 물량은 2020년 853톤(t)에서 2021년 8401톤, 2022년 1만6561톤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3500톤 늘어난 2만톤을 공공비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새로운 밀 품질관리 기준을 전국 10개 지역에서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등급별 매입 가격 등을 고려해 하반기에 품질관리 기준을 확정할 예정이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전략작물직불제 시행 등으로 밀 재배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면서 “정부는 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공공 비축을 확대하고 국산밀 소비가 늘어나도록 재정 지원을 늘려 가겠다”고 밝혔다.
세종=김민정 기자
부동산부, 사회부를 거쳐 세종시에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를 취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