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美 반도체 정책 부담…"메모리 업황 예상보다 완만한 회복"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3시간
메모리반도체 산업의 업황 반등이 예상보다 더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실수요 회복을 제약하는 가운데 공급망 재편을 위한 미국의 반도체 정책이 메모리 반도체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서다.
김웅 나이스신용평가 기업평가본부 책임연구원은 26일 '산업점검-메모리반도체' 보고서에서 "D램을 중심으로 업황 회복이 예상되나, 불확실한 수요 환경을 고려하면 업황 개선 속도는 완만한 수준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앞으로 12개월 동안 D램이 메모리 시황 반등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4분기 이후 서버용 D램 제품인 'DDR5'의 본격적인 시장 침투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인텔의 신규 중앙처리장치(CPU) 출시가 당초 예상보다 지연된 가운데 클라우드 등 일반 서버시장에서 재고 조정이 길어진 영향이다. 이와 함께 감산 효과가 확대되면서 주요 IT 제품향 D램 가격 반등세도 확산될 것이란 분석이다.
D램의 수요 저변이 확대되는 점도 메모리 업황 개선에 긍정적인 요인이다. 빅테크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시장 선점을 위해 투자 비중을 확대하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엔비디아의 AI 가속기 공급 물량 확대 계획과 차기 제품 개발 로드맵을 감안하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비롯한 차세대 D램 출하량은 호조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데이터 병목을 완화하는 CXL(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 쓰는 차세대 인터페이스)와 PIM(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등의 솔루션 개발이 병행되면서 D램의 수요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다만 글로벌 경제 긴축, 중국 경기 부진 등은 업황 개선에 걸림돌이다. 김 연구원은 "AI를 제외한 분야에서 본격적인 실수요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거시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주요국 소비 둔화와 낸드의 수급 안정화 지연, 반도체 칩에 대한 대중 수출 규제 강화 가능성 등이 단기 관점에서 주된 리스크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