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연합) 이란, 하마스 기습 배후설에 "개입 안했다" 공표 ...[2023-10-09]

by viemysogno posted Oct 09,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역시 이란은 개입을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습니다.

예고된 수순이라고 봐야 할 것입니다.

일각에서는 미국과 이란의 대리전쟁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데,

역시 피해를 보는 것은 팔레스타인 지역민들이 될 것입니다.

 

미국과 이란 양쪽 모두 팔레스타인 지역을 이용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고,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대리 전쟁을 했었고,

과거 한국전쟁에서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에서 대리 전쟁을 한 그 역사 그 패턴 그대로입니다.

강대국들이 직접 부딪힐 순 없고, 지역 문제를 가지고 만만한 지역에서 서로 각자 지원을 하면서

대리 전쟁을 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과정에서 약한 국가-지역민들이 피해는 다 보는 것이고요.

 

바이든 정부가 이스라엘의 공격을 지원할 것이 아니라,

더 포용적이고 공정한 외교를 해야 할 것입니다.

 

과거의 시각에 머무르면서 한 쪽 편을 들고 힘으로 해결하려고 하면, 이제 그런 패턴으로는

국제 사회에서 미국 정부가 신뢰를 얻기 힘듭니다.

 

이번 분쟁을 계기로 팔레스타인 지역 문제에 대한 중재안을 내어 보는 것도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외교력을 회복하는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2023-10-09]   IIS 지식정보네트워크.                                 

 

 

 

 

 


 

 

세계일보

이란, 하마스 기습 배후설에 "개입 안했다" 공표

 

 

연합

입력 : 2023-10-09 15:16:55 수정 : 2023-10-09 15:16:54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이스라엘, 정보전 패배 합리화하려 이란 배후설 제기" 주장

팔레스타인 지지는 재확인…"시온주의 강점·범죄에 합법적 방어"

 

 

이스라엘측에서만 7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낸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 공격과 관련해 배후라는 의심을 받는 이란 정부가 "우리는 관여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공표했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주유엔 이란 대표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우리는 팔레스타인에 변함없이 확고한 지지를 유지한다"며 "그러나 우리는 팔레스타인의 대응에 관여돼 있지 않으며 이건 순전히 팔레스타인이 스스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은 하마스와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이슬라믹 지하드에 자금과 무기 등을 지원해 왔다는 사실을 굳이 숨기지 않았지만 이번 사태에는 직접 관여한 바가 없다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란은 자국이 하마스의 공격을 배후 조종했다는 일각의 의혹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라며 사태의 원인을 주장하기도 했다.

 

하마스의 작전에 따른 이스라엘의 피해가 커진 것은 기습이었기 때문이고 이건 이스라엘 안보기구가 저지른 '사상 최악의 실패'라고 지적했다.

 

대표부는 "그들(이스라엘 정보기관)은 이란의 정보력과 작전기획 탓이라며 자신들의 실패를 합리화하려 하고 있다"며 "정보기관에선 팔레스타인 단체에 패배했다고 나오는 걸 받아들이길 매우 어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유엔 이란 대표부는 하마스 공격이 정당하다는 견해를 되풀이하기도 했다.

 

대표부는 "팔레스타인이 취한 단호한 조처는 70년간 이어진 불법적 시온주의 정권이 자행해 온 억압적 강점과 극악무도한 범죄들에 맞선 전적으로 합법적인 방어에 해당한다"며 하마스의 공격을 두둔했다.

 

하마스는 유대 안식일인 7일 새벽 이스라엘을 겨냥해 수천발의 로켓포를 쏘고, 무장대원들을 침투시켰으며, 이로 인해 이스라엘 측에서만 700명 이상이 숨지고 100명이 넘는 민간인과 병사가 인질이 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로 끌려갔다.

 

이에 대응한 이스라엘의 보복 폭격으로 가자지구에서도 최소 413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공격은 미국의 중재로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관계 정상화 추진해 온 상황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스라엘과 사우디를 위시한 수니 아랍권의 화해로 이른바 '중동 데탕트'가 이뤄질 경우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는 강경 투쟁노선을 고수해 온 하마스는 입지가 위태로워지기 때문이다.

 

이후 하마스를 겨낭한 전쟁을 선언한 이스라엘의 보복이 본격화하고 팔레스타인 민간인 피해가 급증할 경우 하마스는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를 막는다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러한 결과는 이스라엘과 수니 아랍권의 밀착이 자국 안보와 지정학적 입지를 위협한다며 예민한 반응을 보여 온 이란의 이해에도 부합하는 까닭에 현지 일각에선 이란이 하마스의 이번 공격에 도움을 줬을 것이란 의혹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