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적으로 이번 큰 패전,
즉 우크라이나에서의 참패에 대해 미국 사회는 국방부 인사들에 대해
철저히 책임을 물어야 할 것입니다.
패전만이 문제도 아닙니다.
상대의 전력에 대한 허위 실태 파악,
무능 무책임 전반에 대해서도 강력히 책임을 묻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부패하고 무능력한 인사들에 대해
미군에서 더 이상 일할 수 없도록 조치해야 할 것입니다.
군수업체들과의 지나친 유착, 즉 부패 문제에 대해서도 칼을 빼들어야 합니다.
또한 군사력 사용을 남발한 것에 대해서도 책임을 물어야 하고요.
국가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무능과 부패로 군 전력을 약화시킨 것,
그것도 모자라 가짜뉴스에만 의지해서 전쟁에서 패하는 것을
이기고 있다고 황당한 허위뉴스를 무한정 배포해서
전세계인들로부터 국가의 명예를 실추시킨 것에 대해
미국 사회가 크게 이슈화하고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결코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일입니다.
군수업체 무기들의 일부 허위 스펙에 대해서도
더 이상 덮어두고 그냥 사주기를 반복하는 일도 사라져야 합니다.
무기를 쓸데없이 비싸게 만들어 파는 행위도 국가의 재정을 좀 먹는 일이고,
이에 대해 국방부가 그런 무기상들과 유착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단죄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나치게 해외 위험한 지역에 있는
미군 기지들, 주둔지들에 대해 미군은 재검토해야 합니다.
의미없는 군사 주둔은 자제하고,
미군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군사 전략을 재정비해야 합니다.
[2].
미 국방부 관련 더 이상 용납이 안 됩니다.
올해 말 대선이 끝나고 미 정권이 바뀌면
미군사력 부분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들이 많을 것입니다.
아프간에서의 치명적 실패는 서막에 불과했고,
우크라이나에서 이긴다고 판단한 부분에 대해서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합니다.
전장터가 미국이나 캐나다도 아니고,
러시아 옆에서 싸우는데, 미군이 지원하면 이길 수 있다고 호언장담한 세력들에 대해
그 황당한 오판에 대해 철저한 진상 조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미국 무기들이 왜 홍보물이나 스펙에 못 미치고
또 드론 등 변화한 무기체계에 왜 적응을 못하고 있는지 철저히 따져물어야 합니다.
그리고 미 국방부는 미 군수업체들과의 관계에서 왜 비싼 무기에만 그토록 의존하고
군의 실제 전력 강화에는 그렇게 철저히 외면하고 현실을 왜곡했는지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돈 값 못하는 값비싼 일부 무기들을 왜 미 국방부가 그렇게 아무 말 없이 사주면서
유착 관계가 이어져 왔는지, 그로 인해 어떻게 미군의 전력이
포탄 생산량에서 러시아에 이렇게 밀리는지 철저히 추궁해야 합니다.
...... [2024-01-08] IIS 지식정보네트워크.
미 국방 '깜깜이 입원' 논란…사흘간 바이든도 부장관도 몰랐다/ 연합뉴스 (Yonhapnews)
연합뉴스 Yonhapnews
구독자 94.1만명
2024. 1. 8. #연합뉴스 #국방부
미 국방 '깜깜이 입원' 논란…사흘간 바이든도 부장관도 몰랐다
(서울=연합뉴스) 로이드 오스틴(70) 미국 국방장관의 '깜깜이 입원'이 일으킨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오스틴 장관은 1일(현지시간)부터 7일 현재까지 수술 합병증으로 입원 중인데, 백악관은 물론 조직에서 유사시 장관의 역할을 대행해야 할 부장관에게까지도 입원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습니다.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지난 4일에서야 오스틴 장관의 입원 사실을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등 백악관에 보고했고,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은 국방부 장관이 제 자리에 없었다는 사실을 사흘간 알지 못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AP통신은 7일 익명의 당국자를 인용, 국방부의 2인자인 캐슬린 힉스 부장관도 백악관이 통지받은 시점과 비슷한 시기에 장관의 입원 사실을 통지받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던 힉스 부장관은 오스틴 장관의 입원 2일차인 2일부터 장관의 임무 중 일부를 대행했는데, 그 당시만 해도 사유를 모른 채 장관 업무 일부를 대행했다는 이야기가 되는데요.
그리고 힉스 부장관은 4일께 오스틴 장관의 입원 사실을 통보받았지만 '장관이 5일 업무에 정상 복귀한다'는 말을 듣고는 즉각적인 휴가 종료 및 업무 복귀 결정을 하지 않았다고 AP는 전했습니다.
결국 미국 국방부의 1, 2인자가 모두 자리를 비운 상황에서 그 사실을 일반 국민들은 물론 '군 통수권자'인 바이든 대통령도 제때 파악하지 못한 셈입니다.
이번 일과 관련, 미국 정부 업무의 기본 원칙인 '투명성'이 결여됐다는 지적과 함께, 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안보 위기가 심화한 상황에서 대통령조차 한동안 몰랐던 국방부 수뇌부의 '공백'이 있었다는 데 대해 미국 사회에서 거센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시죠.
제작: 김해연·변혜정
영상: 로이터·X(구 트위터) @DepSecDef·@SenatorWicker
#연합뉴스 #국방부
◆ 연합뉴스 유튜브→ https://www.youtube.com/yonhap
◆ 연합뉴스 홈페이지→ http://www.yna.co.kr/
◆ 연합뉴스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yonhap/
◆ 연합뉴스 인스타→ https://www.instagram.com/yonhap_news/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