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
“실패하면 책임 물을 것”…이복현 경고장에 증권사 CEO ‘초긴장’
송현주 별 스토리 •
11시간
Fullscreen button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오른쪽 두번째)이 24일 오전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오른쪽 두번째)이 24일 오전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제공: 이코노미스트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단기적인 이익목표에 연연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예상손실을 느슨하게 인식하는 잘못된 행태에 엄중한 책임을 묻겠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주요 증권사 최고경영자(CEO) 향해 경고장을 날렸다. 이 원장이 증권사 CEO를 따로 소집한 건 지난해 3월 이후 약 1년 만이다. 금융당국이 그동안 여러차례 PF 시장 연착륙을 위해 사업장 구조조정을 강조했지만 기대만큼 속도가 나지 않는다는 판단에 이번 만남을 갖고 고강도의 발언을 쏟아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원장은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서 “일부 회사의 리스크관리 실패로 인해 금융시장에 충격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해당 증권사와 경영진에 대해 엄중하고 합당한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날을 세웠다. 부동산 PF 익스포저(노출)가 많은 증권업계에 고강도 리스크 관리를 주문하며 엄정 대응 방침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원장을 비롯해 10개 증권사 CEO가 참석했다.
Fullscreen button
김주현 금융위원장(앞줄 왼쪽 네번째)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참석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김주현 금융위원장(앞줄 왼쪽 네번째)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참석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제공: 이코노미스트
“부실 PF사업장 신속·과감한 정리” 당부
금감원에 따르면 이 원장은 전날 내부 임원회의에서도 “단기 성과에 치중해 PF 손실 인식을 회피하면서 남는 재원을 배당·성과급으로 사용하는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사업성이 없는 부동산 PF를 100% 손실로 인식해 충당금을 적립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 개시 등 부동산 PF 부실 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부실 사업장에 대한 ‘옥석 가리기’도 미뤄지고 있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감원장이 직접 나서 부실 PF 사업장 정리를 촉구하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사업장들이 실제로 빠른 속도로 정리될지는 불투명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금감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PF 연체율은 2022년 2.05%에서 지난해 9월 말 기준 5.56%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이 원장은 증권업계의 불건전 영업 및 사익추구 행위와 관련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최근 검사를 통해 다양한 형태가 발견됐다”며 “내부통제 조직이 실효성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자원을 확충하고, 불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신분상 불이익은 물론, 획득한 수익 이상의 금전 제재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금융당국은 증권사 부동산 PF 임직원의 사익추구와 미흡한 내부통제에 대한 제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금감원은 최근 메리츠와 하이, 다올, 이베스트, 현대차증권 등 부동산 PF 기획검사를 실시한 5개 증권사에 검사 결과를 개별 통보하고 제재 절차에 돌입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간 5개 증권사 PF 기획검사를 실시한 결과 PF 임원들의 사익 추구 행위와 내부통제 미흡 사례를 대거 적발했다. A증권사 PF 임원은 업무 중 알게 된 미공개 부동산 개발정보로 500억 원을 챙겼다. 또다른 증권사 PF 담당 임원은 가족 법인을 만들어 900억 원대 부동산 11건을 취득하고 이중 3건을 팔아 100억 원대 매매차익을 얻기도 했다. 이에 적절한 내부통제를 해야할 임원이 앞장서 사적 비리를 저지른 만큼 증권사와 CEO에 대한 중징계로 이어질 지 관심이 커지는 모습이다.
Fullscreen button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오른쪽 세번째)이 24일 오전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오른쪽 세번째)이 24일 오전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증권업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제공: 이코노미스트
이 원장은 또 증권사들이 단기적 이익에만 매몰되고 있다고도 비판하면서 ‘체질개선’도 이뤄져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기적인 이익창출을 우선시하는 금투업계의 성향을 근본적으로 바꿔야한다”며 “성과보수 체계를 금융회사의 장기성과와 연동할 수 있도록 정비하고 부동산 PF 쏠림, 과도한 단기자금 의존 등과 같이 리스크 관리의 기본이 망각되는 일이 없도록 CEO가 직접 챙겨달라”고 주문했다.
더불어 내부통제 최종 책임자인 CEO의 역할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CEO는 준법과 리스크, 감사 등 내부통제 조직이 실효성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인적, 물적 자원을 확충해야 한다”며 “위법행위 임직원에 대해서는 온정주의를 타파하고 징계, 구상권 행사 등 단호하게 대응해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