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강갑생) GTX 춘천·원주·아산까지 연결...철도지하화 선도사업 연말 선정 ...[2024-01-25]

by viemysogno posted Jan 25,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앙일보

사회 교통

GTX 춘천·원주·아산까지 연결...철도지하화 선도사업 연말 선정

 

 

입력 2024.01.25 10:54

 

업데이트 2024.01.25 11:12

 

업데이트 정보 더보기

강갑생 기자 

구독

차준홍 기자이미지크게보기

차준홍 기자

 

 

 

GTX 1,2 기 노선도.jpg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강원도 춘천과 원주, 충남 아산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는 GTX 급 열차가 운행하는 광역급행철도로 바뀐다. 또 지자체 제안을 받은 뒤 계획의 완결성이 높은 구간을 골라 연말까지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도 선정한다.

 

 정부는 25일 경기도 의정부에서 열린 대통령 주재 교통 관련 민생토론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교통분야 3대 혁신 전략(속도·주거환경·공간혁신)’을 발표했다. 3대 혁신 전략에 투입될 예산만 국비와 지방비, 민자를 포함해 134조원에 달한다.

 

 속도혁신엔 최대 시속 180㎞대의 GTX가 중심에 있다. 우선 GTX 사업 중 최초로 A노선의 수서~동탄구간이 3월 말 개통한다. 이어서 운정(파주)~서울역 구간이 올 하반기 운행을 시작하고 2028년에는 전 구간이 완전개통하게 된다. 완전개통이 4년 뒤에 이뤄지는 건 서울시가 추진하는 삼성역복합환승센터개발이 늦어진 탓이다.

 

 또 인천대입구(송도)와 마석을 잇는 B노선은 재정구간(용산~상봉)을 연초에 착공하는 등 민자구간을 포함한 전 구간이 상반기 내에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개통은 2030년이 목표다. 덕정~수원을 연결하는 C노선도 연초 착공해 2028년 운행에 나설 계획이다.

 

 이들 1기 GTX(A·B·C 노선)를 늘리는 방안도 추진된다. 거론되는 지역은 A노선은 동탄에서 평택 지제까지 20.9㎞ 구간이, B노선은 마석~춘천 사이 55.7㎞가 대상이다. 또 C노선은 덕정~동두천 사이 9.6㎞와 수원~아산 간 59.9㎞의 연장이 추진된다.

 

 GTX-A 차량이 시운전을 하고 있다. 뉴스1

GTX-A 차량이 시운전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는 먼저 노선 연장을 원하는 지자체의 비용 부담 방식을 협의한 뒤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 부담이 합의되면 대통령 임기 내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2차관은 “현재 A와 C 노선은 해당 지자체 건의에 따라 지난해 10월부터 타당성 검증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2기 GTX로 불리는 D·E·F 노선은 5차 국가철도망 계획(2026~2035년)에 전체 노선을 함께 반영하되 추진속도 등을 고려해 구간별, 단계적 개통을 추진한다. 1단계 구간은 2035년 개통이 목표이며, 대통령 임기 내 동시 예타 통과를 추진할 방침이다.

 

 D노선은 김포·인천~팔당·원주를 잇는 더블 'Y' 자 형태로 건설되고, E노선은 인천공항~대장신도시~덕소를 연결하게 된다. 순환선으로 만들어지는 F노선은 전체 구간 중 교산~왕숙2지구를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이 같은 GTX 사업에 투입될 재원은 모두 38조 6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GTX 사업이 계획대로 이뤄지면 수도권 30분, 충청·강원권 1시간의 초연결 광역경제생활권이 실현될 거란 전망이다.

 

 지방에는 GTX 급 열차를 운행하는 광역급행철도가 도입된다. 우선 대전청사~세종청사~충북도청~청주공항을 잇는 광역철도를 선도사업을 선정해 광역급행철도로 추진한다. 사업이 완료되면 오송역과 충북도청 간 소요시간이 기존 45분에서 13분으로 대폭 단축된다.

 

 

 

 

 공간혁신은 철도와 도로 지하화를 통해 추진된다. 정부는 지상철도를 지하에 새로 건설하고, 철도 부지와 인접지역 등 상부 공간을 개발해서 건설비용을 충당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오는 3월 전국을 대상으로 지하화 노선과 구간, 상부 개발 구상, 철도 네트워크 재구조화 등을 담은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대상노선은 사업성 및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내년 말께 선정할 예정이다.

 

 

 

 

경인선 개봉역.jpg

지하화 요구가 나오는 경인선의 개봉역 모습. 연합뉴스

 

 

 

 마침 철도 지하화 사업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일명 철도지하화법)’도 이달 초 국회를 통과했다. 정부는 지하화로 생기는 상부 공간은 역세권은 환승 거점·중심업무지구 등 고밀도로 복합 개발하고, 선로 주변 지역은 철도 부지와 함께 통합 재정비를 추진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서울의 경우 서울역~구로역 구간은 서울국제업무축, 구로역~석수역 구간은 신산업경제축 등으로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또 대선 공약사업 등을 중심으로 오는 9월까지 지자체 제안을 받고, 재원조달방안과 사업성 등 계획의 완결성이 높은 구간을 연내에 선도사업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서울은 경부선과 경인선·경원선을, 부산과 대구는 경부선, 인천은 경인선, 대전은 경부 및 호남선의 지하화를 원하고 있다.

 

자료 국토교통부이미지크게보기

자료 국토교통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서창~김포)와 경부·경인 지하고속도로 사업도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착공이 추진된다. 고속도로 지하화가 완료되면 도로 용량이 늘어나는 데다 상부공간 중 일부는 공원이나 업무시설 등으로 활용이 가능해진다. 철도와 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에 필요한 재원은 65조 2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주거환경혁신은 김포한강신도시로 대표되는 여러 신도시의 교통대란 해소에 초점이 맞춰진다. 광역버스를 확대하고, 버스전용차로 도입 등 권역별 맞춤형 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추진하는 김포골드라인의 혼잡완화 대책으로는 광역버스 차량과 김포골드라인 차량 증편, 그리고 올림픽대로(김포~당산역)에 시간제 중앙버스전용차로 단계적 도입 등이 포함된다.

 

 이와 함께 대량 수송이 가능한 2층 전기버스를 더 투입하고, 스마트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역버스의 좌석을 사전에 예약하는 좌석예약제도 올 상반기 중에 수도권 전역으로 넓힌다. 수요응답형 버스인 DRT도 광역으로 확대한다. 이용객이 원하는 시간과 정류장을 선택하면 해당 차량이 태우러 오는 시스템이다. 이런 대책에는 11조원이 투입된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Articles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