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박광범) 디플레 우려에 中 금리인하…4년 글로벌 금리동행 막 내린다 ...[2024-02-22]

by viemysogno posted Feb 22,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머니투데이

디플레 우려에 中 금리인하…4년 글로벌 금리동행 막 내린다

 

 

박광범 기자 님의 스토리 •

19시간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몸처럼 움직였던 전세계 중앙은행들의 '금리 동행'이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와 경제 상황 등 각국이 처한 경제 여건에 따라 통화정책 차별화가 현실화하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은 전날 기준금리격인 대출우대금리(LPR) 5년물 금리를 연 4.2%에서 연 3.95%로 전격 인하했다. 디플레이션(경기 침체를 동반한 물가 하락) 우려 속에서 침체된 부동산 시장을 살리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LPR은 시중은행들의 우량 고객 대상 대출금리 평균치를 의미한다. 중국 인민은행의 각종 정책 수단을 통해 결정되는 LPR은 사실상 중국의 기준금리로 볼 수 있다. LPR에서 1년 만기는 일반대출, 5년 만기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으로 평가된다.

 

이번 조치는 중국 정부가 침체에 빠진 부동산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시도로 평가된다. 중국은 코로나19 타격으로 안좋았던 2022년(3%) 기저효과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이 5.2% 성장했다. 문제는 올해다. 부동산 경기 둔화, 디플레이션, 지방정부 부채 증가 우려 등으로 올해 중국 성장률은 4%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 정부가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는 부동산 경기를 되살리려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는 분석이다.

 

여전히 물가관리 목표치(2%)를 훌쩍 넘는 4% 물가상승률(지난달 기준)을 기록 중인 영국에서도 금리 인하 가능성이 대두된다. 물가보다 경기 침체를 더 걱정해야 한단 내부 목소리가 커지면서다. 영국은 지난해 3분기(-0.1%)에 이어 4분기(-0.3%)에도 역성장하며 기술적 경기침체에 빠진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자 엔드루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는 20일(현지시간) 영국 의회에 출석해 "금리인하를 위해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구체적 금리인하 시기는 경제여건에 좌우될 것이란 설명이지만 시장에선 영란은행이 고물가에도 불구하고 오는 6월 금리인하로의 피봇(정책 전환)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반대로 금리 인상에 나서려는 국가도 있다. 뉴질랜드중앙은행은 이달 28일 올해 첫 통화정책결정회의를 여는데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난해 4분기 뉴질랜드 물가상승률이 4.7%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현지 민간은행인 ANZ는 보고서에서 "뉴질랜드중앙은행이 2월과 4월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일본도 금리인상 후보국이다. 일본은 20년 이상 디플레이션 탈피를 위해 노력한 결과가 나타나자 일본은행이 이르면 4월 금리 인상에 돌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밖에 미국은 예상보다 견조한 경제지표로 금리인하 시기가 뒤로 밀리는 분위기다. 전반적으로 경기가 어려운 유럽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차츰 안정세를 보이자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르면 4월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인하를 단행할 수 있단 관측이 제기된다.

 

 

이처럼 각국 중앙은행들이 통화정책 차별화를 꾀하는 건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차츰 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지면서 이제는 연준 눈치를 볼 것 없이 경제 체력이나 물가상승 둔화 속도, 고용상황 등 각국의 국내 경제 상황에 집중할 여유가 생겼다는 분석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보고서에서 "각국의 통화정책 차별화가 예상되다는 점은 국가별 경제 여건이 점차 통상적인 경우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다만 기술, 에너지, 원자재 등 전세계 경제에 공통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음을 고려하면 각국 통화정책이 장기적 측면에선 일정 수준 통일성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Articles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