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 (중앙일보 배재성) 한국인 기대수명 83.3년…자살사망률, OECD 국가 중 1위 [2022-03-14]

by viemysogno posted Mar 14,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togyu  방금 전

 

자살률이 높은 결정적 이유는, 정신병원 강제입원 등의 그 자체가 사회 악성 문제로 사회를 암울하게 만드는 최악 요소인 것, 그리고 불안, 우울 등 신경 심리 안정이 필요할 때에 도움을 주기는 커녕 인신매매의 소굴로 되어 사회약자를 평생 괴롭히는 정신병원 강제 입원에 대한 자체 위협으로 편안하게 항불안, 항우울 처방도 힘들고, 또 한적하고 자유로운 요양 휴양 시설이 거의 없는 무조건 생매장만 해대는 감금 중독 치료술사들 때문임... 자살 유발, 가정 폭력 유발, 모든 사회 악성 문제의 최악 근간으로 작용하는, 정신과 의사들의 감금 권력 중독 정신병이 극에 달해 있기 때문....!! 정신병자 의료진한테 누가 어떻게 접근하려고 하겠나? 오랜 고객을 결국 감금하려고 온통 진료기록이나 조작하는 인류 최악의 집단에게...ㅜㅜ

 

답글 작성

 

 

 

 ...... [2022-03-14]   IIS 지식정보시스템.       

 

 

 

 

 

 


 

 

 

 

 

한국인 기대수명 83.3년…자살사망률, OECD 국가 중 1위

 

 

 

중앙일보

입력 2021.07.19 14:33

업데이트 2021.07.19 15:10

 

배재성 기자 

 

 

 

 

 서울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서 노부부가 두 손을 꼭잡고 걸어 가고 있다. 중앙포토

서울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서 노부부가 두 손을 꼭잡고 걸어 가고 있다. 중앙포토

 

한국인의 기대수명은 83.3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81.0세보다 2년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보건복지부는 OECD가 발간한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1’의 주요 내용을 분석해 19일 발표했다. 올해 OECD 보건통계는 주로 2019년 수치를 기준으로 회원국의 보건의료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2019년 기준 83.3년으로 OECD 국가 평균보다 2.3년 길었고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4년)보다는 1.1년 짧았다.

 

기대수명은 해당연도 출생아가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3.3년 늘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기대수명이 80.3년으로 80세를 넘었고, 여성은 86.3세로 조사됐다.

 

지난 2018년 우리나라의 회피가능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44.0명으로 OECD 평균인 199.7명보다 낮았다. 회피가능 사망률은 예방 활동과 적절한 치료 서비스 제공을 통해 막을 수 있는 사망의 비율을 의미한다.

 

 

 

기대수명 및 회피가능 사망률.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기대수명 및 회피가능 사망률.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우리나라의 회피가능 사망률은 2008년 인구 10만명당 231.0명, 2013년 182.0명, 2018년 144.0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5%씩 감소했다.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2018년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4.7명으로 OECD 국가 평균(11.0명)의 배 이상이었다.

 

국내 자살사망률은 2009년 인구 10만명당 33.8명에서 2017년 23.0명으로 감소세였으나, 2018년 24.7명으로 다소 증가했다.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2.7명으로 OECD 평균(4.2명)보다 1.5명 낮았다.

 

건강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2019년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 비율(흡연율)은 16.4%로 OECD 평균(16.4%)과 같았다.

 

순수 알코올 기준으로 측정한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소비량은 연간 8.3ℓ로 OECD 평균(8.8ℓ)보다 적었다.

 

흡연율과 주류소비량 모두 2009년 이후 10년간 감소세를 보였다.

 

‘과체중 및 비만’인 15세 이상 국민은 33.7%로 일본(27.2%)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다만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2009년 30.5%에서 2014년 30.8%, 2019년 33.7%로 점차 증가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