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gno방금 전 · 공유됨(1)
유럽 그린 플레이의 실체와 또 그 허술함과 무능 무책임...!!
그래도 이탈리아 방역 전면 해제, 이건 이유가 관광산업이든 뭐든
그나마 선진국스러움... 그래도 이탈리아? !!
답글공감0반대0
...... [2022-04-01] IIS 지식정보네트워크 분석연구팀.
국제 기업
[단독] 세계 석탄 발전 역대 최대…거꾸로가는 탄소중립
입력2022-04-01 18:04:15 수정 2022.04.01 18:09:28
조양준 기자
■ 지구촌 '화석연료의 역습'
전력수요 급증 속 신재생 한계
지난해 석탄 발전량 9% 늘어
美·유럽도 1년새 증가세 전환
러 가스 빈자리 석탄이 채울듯
독일 작센주의 한 탄광에서 갈탄 채취 작업이 벌어지고 있다. DPA연합뉴스
글로벌 에너지난 속에 탄소 중립이라는 목표를 향한 전 세계의 야심찬 스텝이 꼬이고 있다. 지난해 세계 각국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로 합의했지만 실제 세계 석탄 발전은 지난 한 해 동안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여파로 에너지 지정학이 급변하면서 화석연료 의존이 한층 심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장 미국의 조 바이든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 확대’ 공약에서 물러나 역대 최대 규모의 전략 비축유 방출에 나섰고 세계적으로 원유 증산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증산이 녹록지 않은 석유 대신 석탄 사용이 지금보다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일 영국 기후에너지 분야 싱크탱크인 엠버에 따르면 지난해 석탄 발전에 의한 전력 생산량은 1만 42TWh(테라와트시)로 1년 전 9215TWh 대비 9% 급증했다. 직전 최고치인 2018년(9838TWh)을 뛰어넘는 역대 최고치다. 석탄 발전은 2019년 9618TWh에서 2020년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감소했지만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석탄 발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중국과 인도뿐 아니라 탄소 중립에 앞장섰던 유럽과 미국에서도 석탄 발전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미국과 독일의 지난해 석탄 발전은 전년 대비 각각 16%, 23% 늘었다. 2015년 이후 유지돼온 석탄 감소 흐름이 끊긴 것이다.
석탄이 내뿜는 탄소는 전력 1㎾h(킬로와트시)당 991g으로 석유(782g)·천연가스(549g) 등 다른 화석연료보다도 높다. 지난해 11월 제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141개 참가국이 ‘석탄 발전의 단계적 감축’을 합의한 것도 탈탄소 과정에서 석탄 줄이기가 갖는 의미가 큰 탓이다. 그러나 석탄의 ‘위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으면서 탄소 중립 역시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맞추기 위해 발전 능력이 높은 화석연료 사용을 확대한 것이 ‘석탄 부활’의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전력 수요는 팬데믹 와중에도 1414TWh 늘었다. 이는 인도의 연간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 규모다. 풍력·태양광발전이 전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처음으로 10%를 넘어설 정도로 재생에너지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인 셈이다.
올해도 난관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이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량을 종전의 70% 가까이 대폭 줄이기로 한 것은 석탄 사용 확대라는 역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디터 헬름 영국 옥스포드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유럽은 러시아산 가스의 빈자리를 결국 석탄으로 채우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다른 화석연료인 석유도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박 속에 증산 요구가 빗발친다. 자국 인플레이션 잡기에 다급한 바이든 정부는 원유 생산량을 늘리라며 산유국을 연신 압박하고 있고 전날에는 총 1억 8000만 배럴 규모의 비축유 방출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바이든 정부는 원유 증산을 위해 미국 내 유전을 놀리는 기업에는 과태료까지 부과할 방침이다.
블룸버그는 “비축유 방출로 바이든 정부의 대선 공약인 ‘친환경 에너지 확대’는 위기를 맞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제부 조양준 기자 mryesandno@sedaily.com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IXXF6VD?OutLink=nst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