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S 지식정보센터

해외 뉴스

 

 

이 글 내용에 딱 한 가지 필자 개인적으로 추가 제안을 해봅니다.

우리 나라에서 저출생 인구감소 대책으로 이민 정책을 펴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만 우리는 이민 정책과 함께 이민 외 취업 인력도 필요합니다.

우리 나라의 특성상 산업 단지 같은 데서 일해 줄 인력 중 일부는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좋지 않은 조건일 수 있지만,

우리보다 임금이 낮은 국가 사람들에게는 좋은 조건일 수 있고요.

 

우리는 취업 정책과 별도로 이민 정책을 구사할 필요도 있습니다.

그 때 이민 정책에서 우리 사회가 우려하는 상황이 나오지 않게 하려면

우리의 이민 정책에는 대륙별 할당제를 넣어야 할 것입니다.

 

대륙별 할당제를 실시하면 우리 사회가 우려하는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우리가 원하는 바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일거양득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이민 정책이 필요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이민으로 꼭 동남아 중국 일색만 받아야 하는

문제에서 그런 애로점을 피할 수 있는 것이 대륙별 할당제가 될 것입니다.

 

그 대륙별 할당제는 당연히 공정과 평등에 기반한 정책이 되면서도

이미 요건을 엄격화한다면 이민정책으로

우리가 원하는 고급인력이나 숙련 인력 등을 선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국이나 동남아 쪽으로만 편중된 이민 정책 결과도 피할 수 있고요.

 

엄격한 이민 조건과 함께 대륙별 할당제를 시행해야 합니다.

그러면서도 이민 장려 정책을 적극적으로 펴야 할 것이고요.

 

이민으로 저출생 문제에 대한 어느 정도의 해결책 일부가 될 수 있고요.

 

 

 

 ......   [2023-06-23]   IIS 지식정보네트워크.                              

 

 

 

 

 

 

 

 


 

경향신문

한국의 저출생이 문제라고?…캐나다가 하는대로 배우면 돼![다른 삶]

 

 

성우제 캐나다사회문화연구소 소장

입력2023.06.23. 오후 4:11 기사원문

 

 

 

 

성우제의 ‘경계인’

 

 

토론토 북쪽 지역의 공원에서 초여름을 즐기는 시민들. 최근 몇년 동안 캐나다는 이민자를 부쩍 많이 받아들이고 있다. 신규 이민자는 1년에 50만명에 이른다.

 

요즘 토론토에서 일을 하다 보면 젊은 한국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만나게 된다. 은행에 가든, 변호사 사무실에 가든 나 같은 한국 사람은 한국인 직원을 찾게 마련이다. 한국말을 나만큼이나 잘하는 30대 한국인 직원을 만나면 ‘신분’이 궁금해진다. 어린 나이에 부모를 따라 이민을 온 1.5세들도 요즘은 한국말을 잘하는 편이지만 아무래도 그들의 한국어는 조금 어눌할 수밖에 없다. 젊은 한국 사람이 한국말을 유창하게 구사하면 실례를 무릅쓰고 이런 질문을 하게 된다.

 

“한국말을 어떻게 그렇게 잘하세요?”

 

이 질문에 똑같은 답을 한 사람을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명 만났다.

 

“한국에서 학교(고교나 대학)를 마치고 왔거든요.”

 

30대 초반에 한국에서 혼자 건너왔다는 사람도 몇 명 보았다. 이민 절차가 까다롭기로 소문난 캐나다에 젊은 사람들이 홀로 와서 어떻게 취직을 하고 정착하게 되었는지도 궁금했다. 내가 만난 30대 한국 사람들이 캐나다에 건너와서 뿌리를 내린 과정은 모두가 엇비슷했다. 지난번 글(5월26일자 ‘가족 단위’ 기술·교육 이민 → ‘개인 단위’ 대학 재입학 후 취업)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캐나다의 이민 정책이 대단히 정교하게 작동된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한국에서 학교 생활 마친 20~30대

캐나다에서 취업하면 영주권 부여

검증된 ‘고급 인력’이 인구로 유입

 

정부는 이민 ‘걸림돌’ 제거 앞장

이민자에 대한 차별도 철저히 금지

6월 사상 첫 인구 4000만명 도달

1957년 이후 최고 인구 성장률

 

자녀 양육 환경 개선책도 쏟아져

저출생의 ‘본질적’ 문제 해결 노력

 

 

A는 고교 시절부터 막연하게 외국 생활을 꿈꾸었다고 했다. 한국에서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6개월 관광비자를 가지고 캐나다로 건너온 그는 이곳에서 영어 공부를 하고 대학에 진학했다. 대학 재학 중에 한국으로 건너가 군 복무를 마치고 다시 캐나다로 돌아와 복학을 했다.

 

한국의 부모로부터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받았지만 거기에만 의존하기가 미안해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그는 친구 소개로 어느 부동산 회사에서 잔심부름을 하게 되었다. 부동산이 거래되는 현장을 지켜보면서 A는 그 분야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고 했다. 자기를 고용한 사람에게 부탁해서 부동산 거래와 관련한 일을 배우기 시작했다.

 

대학을 졸업할 즈음 A는 자연스럽게 그가 일하던 부동산 중개 회사에 취직을 했다. 그곳에서 몇 년간 근무하는 사이에 캐나다 영주권을 받고 중개인 자격증을 땄다. 이후 중개인으로서 경력을 쌓은 뒤 독립해서 자기 회사를 차렸다. 한국인 여성을 만나 결혼하고 가정을 꾸렸다. A는 지금 한국어와 영어를 잘하고, 중국어까지 구사할 줄 아는 능력있는 부동산 중개 회사의 대표이다.

 

B는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했으나 취직이 여의치 않았다. 20대 후반까지 임시직으로만 전전하던 그는 답답한 마음에 그냥 여행차 캐나다로 건너왔다. ‘바람이나 쐬자’는 생각이었다. 이곳에서 자기와 비슷한 처지의 젊은 사람들을 여럿 만날 수 있었다. 캐나다에서 인생을 새로 시작하려는 30대 한국인들이었다.

 

영어학교에 등록해 공부한 후 B는 대학에 들어갔다. “방학 때 보충수업까지 들어가며 ‘빡세게’ 공부했다”고 했다. 2년 과정을 1년6개월 만에 마친 그는 곧바로 직장에 들어갔다. 규모가 작은 로펌이었다. 돈보다는 취업이 중요한 만큼 최저임금도 개의치 않았다. 캐나다 대학을 졸업하면 외국인이어도 이곳에서 3년 동안 일할 자격(Work Permit)을 갖게 되는데, 그사이에 취업하면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B는 로펌에 취직한 지 10개월 만에 캐나다 영주권을 받았다. 그 이후에는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회사로 여러 번 옮겨다니면서 자기 ‘몸값’을 올렸다. 그이는 지금 규모가 큰 로펌의 직원으로 일하며 산다.

 

C는 내가 은행에 가서 만난 사람이다. 그의 명함에는 ‘파이낸셜 어드바이저’라는 직함이 적혀 있었다. 한국말을 너무 잘해서 물어보았더니, 그 또한 한국에서 고교를 마치고 캐나다로 건너왔다고 했다. 고교 때까지 운동을 했으나 프로구단의 지명을 받지 못했고 운동 특기자로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는 것도 여의치 않았다. ‘영어나 배우자’ 하고 캐나다에 건너왔다가 이곳에 눌러앉았다. 그도 2년제 대학에 진학했고 이후 4년제 대학에 편입했다. 한국으로 가서 군 복무를 마치고 다시 건너와 대학을 졸업했다. 은행에서는 임시직 ‘텔러’로 일을 시작해 경험을 쌓은 다음 고객 투자를 상담하는 전문 분야로 자리를 옮겼다.

 

C를 만나 이런 이야기를 나눈 지 몇 개월 후 은행에 가서 그를 찾았더니 다른 회사로 옮겨갔다고 했다. 조건이 더 좋은 자리를 찾아갔겠거니 생각했다. 자동차를 사러 갔다가 만난 D도 비슷한 경우였다. 토론토에서 2년제 대학을 졸업한 그는 자기 전공 관련 직종에서 근무하다 영주권을 얻은 다음 자동차 영업으로 이직했다고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가족 단위로 이민 온 한국 사람은 직접 본 적이 없다. 대신 혼자 건너와서 캐나다에 살기 시작한 한국인 이민자는 여러 명 만날 수 있었다. 캐나다에 와서 이렇게 자리 잡고 사는 젊은 한국인들만 보아도 캐나다가 저출생과 인구 부족 문제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해결해나가려 하는지를 잘 알 수 있다. 캐나다에서 대학을 졸업한 유학생이라면 누가 되었든 3년 동안 일할 기회를 주고, 그사이에 영주권을 신청하면 범죄경력 같은 문제가 없는 한 영주권을 내준다. 캐나다는 검증된 고학력자에다 직장까지 스스로 찾은 젊은 사람을 비용 한 푼 들이지 않고 자기 나라 인구로 유치한다.

 

캐나다의 합계출산율은 1.4명대이다. OECD 국가 가운데 최저라는 한국보다는 높지만 캐나다도 ‘저출산’ ‘인구부족’ ‘고령화’ 문제에 맞닥뜨린 것은 한국과 마찬가지이다.

 

한국과 크게 다른 점이라면 낮은 출생률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캐나다 인구는 2023년 6월16일 오후 3시를 기해 사상 처음으로 4000만명을 넘어섰다. 작년 한 해에 늘어난 인구는 105만명. 2022년 인구 성장률(2.7%)은 1957년 이후 가장 높다고 했다. 인구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역시 이민자와 임시 노동인력 유치이다. 바로 그 임시 노동인력에, 앞서 말한 한국인 A·B·C·D씨 같은 이들도 포함된다.

 

캐나다 인구는 앞으로도 점점 늘어나 20년 후인 2043년에는 5000만명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이민자의 나라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이민자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우리는 죽는다’는 식으로 인구 유입 정책을 대대적으로 펼치는 듯하다.

 

연방정부 이민성과 주정부 이민부는 이민자를 받아들이기 위한 중장기 대책을 서로 경쟁하듯 수시로 수립해 내놓는다. 대책들은 적극적이고 정교하다. 20년 넘게 산 나도 깜짝깜짝 놀랄 때가 있다.

 

캐나다가 이민자의 자격을 까다롭게 제한하는데도 1년에 50만명이나 되는 이민자가 외국에서 들어오는 까닭은, 캐나다가 고급 인력 유입 정책을 필요에 따라 시시때때로 바꿔가며 과감하고 신속하게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온 20~30대 젊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공부하고 취업하고 영주권 얻고 뿌리를 내리는 것도 그런 정책의 결과이다. 캐나다에서 자기 돈 들여 대학 공부를 마치고 말 그대로 홀로서기에 성공한 젊고 검증된 고급 인력을 자기 나라로 돌아가지 않게 붙잡아두는 것은 교묘하다는 생각까지 들게 한다.

 

한편으로 외국인을 들어오게 해서 최저임금도 지급하지 않은 채 가사 도우미로 쓴다거나 하는 따위의 꼼수는 이곳에서 통하지 않는다. 그것은 불법이고 차별이다. 차별은 어떤 형태이든 범죄로 취급받는다. 캐나다에 합법적으로 살러온 사람이라면 그 누가 되었든 캐나다 시민과 모든 면에서 동등한 대접을 받는다.

 

캐나다가 이민 정책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는가 하는 것은 최근에 나온 뉴스만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현행 정책을 유지만 해도 1년에 50만명의 이민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나라인데도, 지금 캐나다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받아들이려고 갖가지 정책을 계속 내놓는다. 올해 들어서는 ‘의료’ ‘보건’ ‘운송’ 직업군에 속하는 사람은 6개월 경력만 있으면 이민 신청을 할 수 있게 한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1990년대 말에 Y2K 위기 때문에 IT 기술자를 단기간에 대거 받아들인 것과 유사한 형태이다. 이런 것을 두고 ‘급행 이민’이라고 하는데, 특정 분야에 인력이 필요하면 이런 ‘이민자 유치 기술’을 구사해서 다른 나라에서 인력을 빼온다. 캐나다 사회가 당장 필요로 하는 사람을 이민자로 신속하게 받아들이려는 이 같은 모습을 보면 캐나다는 ‘인구 전쟁’을 치른다는 느낌마저 든다.

 

이뿐 아니다. 이곳에 살러온 외국의 고급 인력이 캐나다 사회에서 막상 부딪히는 가장 큰 취업 장벽은 ‘캐나다 경험’을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외국에서 건너온 사람에게 캐나다 경력을 요구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었다. 그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취업 걸림돌이었다. 지난 5월 캐나다 온타리오 전문엔지니어협회는 ‘캐나다 경력 요구 조항’을 공식적으로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는 캐나다로 이민 온 외국 엔지니어 가운데 불과 25%만 해당 전문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었다. 캐나다 경력 요구 조항이 폐지된 만큼 외국에서 오는 엔지니어 이민자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다.

 

물론 저출생·고령화·인구 부족에 대한 대책이 이민 분야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자녀 양육 환경을 개선하려는 대책 또한 수시로 나온다. 어린 자녀를 둔 젊은 부모가 가장 큰 부담을 갖는 것은 자녀를 어린이집에 맡기는 문제였다. 캐나다라고 만족스러운 환경이 아니었다. 최근 캐나다 온타리오 주정부는 2025년부터 ‘종일 데이케어’ 비용을 하루 10달러(약 9700원)로 하겠다는 지원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이 시행되면 부모들의 부담은 5분의 1 이하로 크게 줄어든다.

 

요즘 한국을 방문하면 크게 변한 한국 사회의 모습에 많이 놀라게 된다. 가장 놀라운 일 가운데 하나는 갑작스럽게 떨어진 출생률이었다. 가족 모임을 하면 어른은 스무 명 가까이 되는데 어린아이는 1명밖에 없었다. 친가든 처가든 마찬가지였다. 내가 만난 사람들은 너나없이 저출생과 인구 부족 문제를 이야기했다. 걱정하는 사람들을 보고 나는 말했다. “캐나다가 하는 것을 보고 배우면 돼.”

 

 

▲성우제

 

캐나다사회문화연구소 소장. ‘원(原)시사저널’ 문화부 기자로 일하다 2002년 캐나다 토론토로 이주했다. 16년째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한국의 여러 매체에 기고해왔다. 재외동포문학상을 두 차례(소설 및 산문 부문) 수상했고 <느리게 가는 버스> <딸깍 열어주다> 등 단행본 5권을 냈다.

 

성우제

Copyright ⓒ 경향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468 (Reuters - Andrew Osborn and Kevin Liffey) 모스크바, 반란 혐의로 바그너 수장 비난, 그의 군대가 러시아에 입국한다고 말함 ...[2023-06-24] viemysogno 2023.06.24
2467 (조선일보 김명진) “빈살만은 벤츠, 伊총리는 마세라티… 프랑스, 尹만 싸구려車 홀대” 또 가짜뉴스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66 (경향신문 이재덕) 미국, 반도체 이어 이번엔 ‘소재·장비 기업’ 지원 계획 발표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 (경향신문 성우제) 한국의 저출생이 문제라고?…캐나다가 하는대로 배우면 돼![다른 삶]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64 (연합뉴스TV 방준혁) 한·베트남 정상회담…"경제·안보 협력 강화"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63 (유튜브 - 셜록현준) 매일 걷고 싶은 강, 청계천과 결정적 차이는 '이것'?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62 (조선일보 황민규) 삼성·SK하이닉스, 챗GPT용 메모리 시장 선점 경쟁…차세대 HBM 개발 ‘속도전’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61 (조선일보 황민규) 日 전자산업, 슈퍼 엔저 타고 호황… 韓 기업에 미칠 영향은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60 (NBC - David Ingram & Ben Goggin) YouTube, 백신에 대한 잘못된 정보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와 조던 피터슨의 동영상 삭제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59 (NBC - Rob Wile) 코네티컷 주, 현대 및 기아 차량의 소셜 미디어 연계 도난에 대한 조사 발표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58 =추천= (지디넷코리아 이나리) 대만 "TSMC가 전세계 AI 칩 생산 독점" 자신감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57 (중앙일보 고석현) “배터리 일체형 폰 안돼”…점점 높아지는 유럽 ‘녹색장벽’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56 (연합뉴스 김태종) 양자컴퓨터 개발 경쟁 '삼국지'…IBM·구글 주도에 MS 도전장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55 (스푸트니크) Sputnik 러시아 랜싯 드론이 우크라이나 탱크를 파괴하는 모습 보기 ...[2023-06-23] viemysogno 2023.06.23
2454 (스푸트니크) 기존 글로벌 금융 시스템은 지쳐서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수 없습니다 - 프랑스 대통령 ...[2023-06-22] viemysogno 2023.06.22
2453 (경향신문 문광호) 국민의힘 투표권 제한하자는 영주권자 83%는 동포나 우리 국민 가족···이민 확대 정책과도 배치 ...[2023-06-22] viemysogno 2023.06.22
2452 (한국일보 이유지 강지수) '꽃놀이패' 엘리엇 "검찰 수사로 입증돼"… 법무부, 론스타 판정 때와 달리 '고심' ...[2023-06-22] viemysogno 2023.06.22
2451 =추천=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전문가 칼럼] 중국에서 패싱당하는 한국 외교 ...[2023-06-22] viemysogno 2023.06.22
2450 =추천= (한겨레 조계완) “중국경제 둔화 요인은 미국만이 아니다…내부 민간투자 약화” ...[2023-06-22] viemysogno 2023.06.22
2449 (조선일보 이영완) [사이언스샷] 암에 더 약한 남성, 원인은 Y염색체 ...[2023-06-22] viemysogno 2023.06.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