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S 지식정보센터

해외 뉴스

 

 

 

국제 경제·마켓

 

겁에 질린 시장…3월 0.5%p 인상 확률 97% 찍기도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입력2022-02-11 07:34:12 수정 2022.02.11 11:59:27 뉴욕=김영필 특파원

 

 

 

 

 

 

 

 

 

1월 CPI가 급등한 이후 월가가 3월 0.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대폭 상향조정했다. 로이터연합뉴스

 

 

 

 

10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7.5% 폭등한 것으로 나온 뒤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연 2%를 돌파하면서 줄줄이 하락했습니다. 나스닥이 2.1% 내린 것을 비롯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가 각각 1.81%, 1.47% 떨어졌는데요. 7.5%라는 숫자는 7.2~7.3%가량이었던 시장 예측치를 크게 웃돕니다.

 

중요한 것은 이날 CPI 수치 발표 이후 월가의 분위기가 돌변했다는 점입니다. 0.25%포인트씩 점진적 금리인상 가능성을 얘기하던 이들이 이제 0.5%포인트를 얘기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인플레이션에 관한 시장의 반응과 금리인상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 전월 대비 0.6%↑ 상승세 꺾일 조짐 없다”…“금리 인상효과 내년에도 없을 수도”

 

우선 1월 CPI를 조금 더 뜯어보겠습니다. 1월 상승세인 7.5%는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치인데요.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농식품을 뺀 근원 CPI도 1년 전보다 6.0%나 폭등했습니다. 지난해 12월(5.5%)보다도 더 올랐죠.

 

CPI 발표 후 미 경제 방송 CNBC는 “안 좋은 숫자”라고 평가했는데요. 팀 마그너슨 가르다 캐피털 파트너스의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엄청난 숫자”라고 놀라워했고, 웰스파고의 금리전략 디렉터인 마이클 슈마허는 “인플레이션이 뒤로 물러나지 않는다. 사람들은 정말로 겁에 질렸다”고 했는데요.

 

중요한 것은 당분간 지금 같은 인플레이션이 가라앉을 조짐이 없다는 겁니다. 단기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전월 대비 수치가 1월에 0.6%가 나왔습니다. 지난해 12월도 0.6%였지요. 전월 대비 숫자가 계속 줄어들면 시간이 흐를수록 물가상승률이 낮아질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해주는데 개선이 전혀 없었습니다.

 

물론 신차 가격 변동성이 감소한 점은 긍정적인 부분입니다. 1월 신차 가격이 전월 대비 0% 상승을 보여줬지요. 근원 CPI의 10%를 신차가 차지하기 때문에 3월쯤 물가상승세가 정점을 찍은 뒤 이후로 급격하게 떨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도 있긴 합니다.

 

 

 

 

인플레 상승의 요인은 이제 물류와 공급망 문제만이 아니다. AP연합뉴스

 

 

 

하지만 물가상승이 전방위로, 그것도 임대료와 임금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한데요.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이코노미스트인 알렉산더 린과 메간 스위버는 “유일하게 완만해진 것이 신차로 상품과 서비스 전반에 걸쳐 강한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며 “전월 대비 주 거주지 임대료가 0.54% 상승해 1992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월간 상승폭을 보였다. 구인난과 그에 따른 임금상승과 맞물려 높은 인플레이션이 앞으로 몇 달 동안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이치 아메미야 노무라 증권 선임 미국 이코노미스트의 생각도 비슷한데요. 그는 “CPI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용 상승이 인플레 압력을 높이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며 “임대 공실률이 지난해 4분기 5.6%로 1980년대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고 지적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필라델피아에서는 같은 집의 임대료가 몇 달 새 30% 폭등했다는 사례가 나왔는데요. ‘3분 월스트리트’에서도 뉴저지에서 최근 아파트 계약을 새로 하는데 20%를 올려달라고 했다는 경우를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미국은 1년 계약도 많으니 올해 내내 계속 렌트비 상승과 그에 따른 임금인상 요구가 이어질 겁니다.

 

핵심은 연준이 3월에 금리를 올리더라도 올 4분기나 내년에도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통화정책이 실제로 효과를 내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데요.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고(故) 밀턴 프리드먼 교수는 18개월에서 2년이 필요하다고 했었습니다.

 

최근에도 연준 정책의 약발이 듣는데 최소 6개월에서 1년은 족히 걸린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RSM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셉 브루수엘라스는 “연준은 단기 인플레 급등에 아무 것도 할 수 없다”고 했지요.

 

 

 

선물시장, 3월 0.5%포인트 인상 25%→97%…불러드 “7월까지 1%포인트 인상 원해”

 

이렇다 보니 시장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마켓워치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 툴을 인용해 “1월 CPI 발표 후 금리선물시장에서 3월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오를 가능성을 거의 97%로 봤다”며 “이는 하루 전의 25%에서 급등한 것”이라고 했지요.

 

CME 페드워치가 보여주는 숫자는 놀랍습니다. 실제 월가의 많은 이들이 0.5%포인트 인상을 점쳤는데요.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 설립자는 이날 블룸버그TV에 “3월에 0.5%포인트를 올려라. 이미 시장은 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카림 바스타 III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할지가 여전히 물음표로 남아있다”면서도 “모든 것은 논리적으로 3월에 0.5%포인트 금리인상을 뒷받침한다”고 강조했는데요.

 

눈여겨 볼 것은 1월 CPI가 나온 직후 3월 인상 전망치를 0.25%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높인 곳이 많다는 점입니다. 다이앤 스웡크 그랜드 손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오늘 오전8시30분에 1월 CPI 숫자를 본 뒤 3월 금리인상 폭을 0.5%포인트로 바꿨다”며 “이코노미스트들은 3월이나 4월에 물가상승률이 피크에 달할 수 있다고 해왔지만 인플레이션은 아직도 올라가고 있다. 걱정스럽다”고 했지요.

 

 

 

 

 

 

 

월가의 사정에 정통한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1월 CPI 전만해도 0.25%포인트씩의 점진적 금리인상을 할 것이라고 봤었지만 이제 꼭 그렇게 할 거라고는 볼 수 없게 됐다”며 “시장이 3월 0.5%포인트와 최대 7회 금리인상 가능성을 가격에 책정하기 시작하면서 되레 연준이 (그렇게 할 수 있는) 운신의 폭이 넓어졌다”고 봤습니다.

 

씨티도 3월 0.5%포인트 인상으로 입장을 바꿨습니다. 도이치뱅크도 0.5%포인트를 제시하고 있는데요. 제임스 나이틀리 ING 수석 국제 이코노미스트는 “임금과 상품가격, 공급망 문제가 모두 가격상승에 일조하고 있어 연준이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며 “3월에 금리를 0.5%포인트 올릴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국채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날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2019년 이후 처음으로 2% 선을 넘어섰고 단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잘 보여주는 2년 물 국채금리도 한때 1.63%대까지 치솟았죠.

 

이런 상황에서 연준 내 대표 매파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기름에 불을 끼얹었는데요. 그는 이날 “3월 0.5%포인트 인상에 열려 있다”며 “7월1일까지 1%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보기 원한다”고 했습니다. 3월과 5월, 6월 세 차례에 걸쳐 1%포인트니까 한번은 0.5%포인트라는 거겠죠. 대차대조표 축소도 2분기부터 하자는 건데요.

 

불러드 총재의 발언 이후 주가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연준이 3월에 0.5%포인트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투자자들의 베팅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최소한 향후 몇 주 동안 금리인상 폭을 두고 연준 내에서 토론이 격화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0.5%포인트 아니더라도 7회 인상 가능성” vs “연준, 0.25%포인트로 시작할 확률 여전”

 

물론 연준이 실제로 0.5%포인트 카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한 지도부의 생각이 중요합니다. 이들이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고 보고 있고 3월부터 금리를 올리기로 한 것은 기정사실이지만 폭도 커질지에 대한 명확한 신호는 아직 주지 않았습니다. 앞서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0.5%포인트 인상 가능성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죠.

 

이 때문에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얘기도 월가에서는 나옵니다. 시장 투자자들이 0.5%포인트 확률을 대폭 높인 것은 사실이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입장이 다른 건데요. 월가의 또다른 관계자는 “이날 시장이 좀 민감하게 반응한 것 같다”며 “지역 연은 총재와 지도부의 생각은 구별해서 볼 필요가 있고 아직 주요 인사들의 면면을 보면 3월에도 0.25%포인트를 올릴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의 말대로 이날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한 것이라면 시간이 좀 지날 경우 “과도했나?”라며 생각이 퍼지면서 다소 안정을 찾을 수도 있는데요. 마이클 다르다 MKM 파트너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제상황만 보면 0.5%포인트 인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연준은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연준이 3월에 0.5%포인트를 올리면 시장은 이후 회의에도 0.5%포인트 가능성을 책정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총 인상 횟수가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7회 금리인상 가능성을 61%로 보고 있는데요. 로이터통신은 “상당 수 이코노미스트들은 연준이 더 큰 규모(0.5%포인트)로 금리인상을 시작하기보다는 더 많이 올리거나 대차대조표 축소를 빨리 시작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BofA 역시 올해 7회 금리인상 가능성을 책정해두고 있는데요.

 

정리하면 △1월 CPI에 시장이 크게 놀랐으며 △3월 0.5%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 대폭 상승 △0.5%포인트를 안 올리면 더 많은 금리인상(최대 7회) 혹은 대차대조표 조기 축소 △단, 연준 지도부의 결심이 최종 변수 등으로 시장 예측이 하루 만에 급변한 상황입니다.

 

금리인상 결정이 이뤄지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다음달 15일부터 16일에 열리는데요. 연준이 더 선호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25일에 나오고 이후 2월 고용보고서도 예정돼 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연준의 생각이 더 명확하게 잡힐 듯합니다.

 

현재로서는 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을 비중있게 보는 게 좋겠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를 지내면서 비둘기파적인 모습을 보였던 나라야나 코체르라코타는 “나는 매 회의 때마다 0.5%포인트 인상이 테이블 위에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했습니다.

 

3월에 0.5%포인트를 피해가더라도 5월에 논의 테이블에 다시 올라올 수 있다는 것이죠. 주목해야 할 대목입니다.

 

시장의 불안도 한동안 이어질 수밖에 없을 듯한데요.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지면 경제성장 속도를 늦추게 되고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실적이 좋았던 기업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배리 길버트 LPL 파이낸셜 자산 배분 전략가는 “1월 인플레이션이 깜짝 증가하면서 시장은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을 계속해서 걱정하게 될 것”이라며 “이는 인플레이션이 명확하게 통제되고 있다는 신호가 나올 때까지 그럴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미국 경제와 월가의 뉴스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국제부 뉴욕=김영필 기자  susopa@sedaily.com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23LLV8AY

 

 

 

 

 

* 원문 기사 :  겁에 질린 시장…3월 0.5%p 인상 확률 97% 찍기도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pd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8 [Comment] (한국일보 정상원) '우크라 정상과 통화, 러시아엔 경고'.. "전쟁 막자" 美 바이든 동분서주 [2022-02-14] viemysogno 2022.02.14
227 [Comment] (중앙일보 박현영-박현주-김홍범) 바이든·푸틴 전화담판 실패…미국, 자국민 48시간 내 대피령 [2022-02-14] viemysogno 2022.02.14
226 [Comment] (한국일보 강지원) 앰버서더 다리 점거해온 캐나다 트럭 시위대 강제해산 [2022-02-14] viemysogno 2022.02.14
225 [Comment] (뉴시스 임종명) 미국인들, 정부 인플레 정책 효과 없을 것이란 우려 커 [2022-02-14] viemysogno 2022.02.14
224 [Comment] (유튜브 김진짜 Reak Kim) 토트넘의 경기력이 절망적인 이유 [2022-02-14] viemysogno 2022.02.14
223 [Comment] (YTN 강성웅) 韓, 미일과 "우크라이나 주권 지지"...美 주도 反중러 협력에 한 걸음 더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222 국제신문 김미주) 미-러 우크라이나 '전화 담판' 합의 실패...러, 16일 침공설 부인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221 서울경제 김우보) [단독]정부 '경제안보법' 만든다…기업 외국 특허 제한하고 기밀제출 강제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220 [매출 연동형 임차료] 서울경제 박민주) 임차료만 年 3000억원인데…'스타벅스 월세살이' 경제학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219 서울경제 곽윤아) 캐나다 마비시킨 백신 반발 트럭시위…유럽까지 번진다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218 서울경제 최성욱) 트럼프 "북한 비핵화는 위험이 아니라 오히려 최고의 기회"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217 [Comment] (중앙일보 정은혜) EU, 원자력·천연가스 발전도 '녹색' 분류…규정안 발의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216 [Comment] (엑스포츠뉴스 김정현) '손흥민 선발 출격' 토트넘 '코리안더비' 울브스전 예상 선발 라인업 [2022-02-13] viemysogno 2022.02.13
» [Comment] (서울경제 김영필) 겁에 질린 시장…3월 0.5%p 인상 확률 97% 찍기도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2022-02-11] file viemysogno 2022.02.11
214 [Comment] (서울경제 이현호) 인플레發 채권시장 쇼크…외인, 이달 3.4조 투매 [2022-02-11] viemysogno 2022.02.11
213 [Comment] (서울경제 윤홍우) 바이든 "美 시민, 우크라 즉시 떠나라…러와 충돌하면 세계대전" [2022-02-11] viemysogno 2022.02.11
212 서울경제 김흥록) 서울 '보증금 1억=월세 40만원' 시대 [2022-02-11] viemysogno 2022.02.11
211 서울경제 정혜진) "산토끼 잡으려다.." 악재에도 버텼던 메타…시총 26% 날아간 이유는 [정혜진의 Whynot 실리콘밸리] [2022-02-11] viemysogno 2022.02.11
210 [Comment] (서울경제 양종곤) 여수산단, 두 달 만에 다시 폭발사고…고용부 “사고공장, 작업중지" [2022-02-11] viemysogno 2022.02.11
209 [Comment] (서울신문 안동환) 푸틴엔 5m 테이블 굴욕, 우크라엔 해법 퇴짜… 체면 구긴 마크롱 [2022-02-10] viemysogno 2022.02.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