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심층K
그 어려운 걸 해낸 배달 앱이 정말 있었다?
김진희 기자
입력 2024.03.24 (08:00)
"수수료 떼면 남는 게 하나도 없다"
"자영업자들이 욕해봐야 눈 하나 깜짝 안 한다"
"필요악 같은 느낌. 안 쓸 순 없고 쓰기엔 너무 사악하다"
눈치채셨나요? 대형 배달 앱을 이용하는 자영업자들의 하소연입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이 같은 대형배달 앱 성토 글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데요.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6일,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을 신속히 추진해 달라며,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를 독과점 플랫폼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 대체 얼마나 비싸길래? … "5만 원어치 팔고, 3만 3천 원 정산받았다"
배달 앱들의 수수료 체계는 매우 복잡합니다. 배달비를 포함한 수수료, 배달비를 포함하지 않는 수수료라는 두 갈래 외에도 일반형·절약형·알뜰형 등 매우 세분화된 요금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기준, 대형 3사가 음식점들에 받는 중개수수료는 6.8% ~ 27%입니다.
한 음식점은 배달 앱으로 5만 원어치 팔았더니, 3만 3천 원을 정산받았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수수료 27%를 떼가는 배달비 포함형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앱 수수료로 13,500원, 카드 수수료 및 결제이용료로 1,500원, 부가세 1,500원을 제하고 3, 3,000원을 정산받은 것인데요. 여기엔 물론 음식 원가가 포함되지 않았고, 인건비, 가게 임대료, 전기세 같은 고정지출도 고려해야 할 겁니다.
배달 앱의 등장으로, 판매량은 늘었을 수 있지만, 순수익은 훨씬 떨어지게 된 건데요.
■ 그래서 등장했다! … 공공배달 앱 중개수수료 0~2%
매장 판매나 배달 주문이나 비슷한 순수익을 낼 수 있는 배달 앱이 있습니다. '공공배달 앱'입니다. 서울과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등 전국 많은 지자체들이 자체적 혹은 민관협력 방식으로 '공공배달 앱'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앱 중개수수료는 0% ~ 2% 수준입니다. 배달의 민족, 쿠팡, 요기요와는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저렴한 수수료로 매장 판매와 별 차이 없는 순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이 공공배달 앱 이용이 부진합니다. 배달 앱마다 가맹점 수는 영업기밀에 해당돼 정확한 파악은 어렵습니다. 민간 앱에 비해 공공 앱 가맹점 수가 적다는 건 실제 사용하면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22일(금) 오전 10시 우리 동네 기준, 족발·보쌈 주문을 검색해 보니 공공배달 앱 A사는 1곳, 민간 앱 B사는 28곳이 가능합니다. 같은 음식점인데도 민간 앱만 주문할 수 있게 열어둔 곳도 꽤 많습니다. 디저트, 피자 등 다른 음식 카테고리도 사정이 이와 비슷합니다. 공공 앱 수수료가 훨씬 싼 데 대체 왜 음식점들은 잘 이용하지 않는 걸까요?
"민간배달 앱은 한 달에 평균 400건 정도 되지만 공공 앱은 한 달에 1건 또는 2건. 거의 사용하지 않는 걸 포스에 저장해 놓기가… 저희가 사용을 하고 싶어도 일반 소비자들이 선택을 안 해주면, 아무리 좋은 앱이어도, 아무리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활용을 할 수가 없는 거죠." (공공 앱 삭제 음식점주)
"아무래도 큰 업체들은 광고가 많이 돼 있잖아요. 모르는 사람이 없고 젊은 사람들이 많이 쓰니까 주문이 많이 들어오는데 공공배달 앱은 주문 들어오는 게 현저히 다르죠. 차이가 많이 나죠." (공공 앱 이용 중단 음식점주)
■ 소비자 선택이 최우선… 인지도 높이고 할인 혜택 늘려야!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가 집계한 지난달 MAU(월간 활성 이용자 수) 기준 배달 앱 점유율입니다.
MAU란 한 달 동안 사용자 수를 말합니다. 제가 세 개 앱을 이용해 음식 배달을 시켰다면, 3곳에서 모두 저를 사용자 1명으로 계산합니다. 그래서 합계가 100%를 넘는 건데요.
지역별 매출 규모로 따져보는 편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워낙 배달 앱 시장 경쟁이 치열 하다 보니 업체들 마다 정확한 매출을 공개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배달 앱 시장 점유율을 얘기할 때 요즘 MAU를 기준으로 많이 살펴봅니다.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인구 수를 나타내는 경기도 공공 앱 사용자 수는 지난해부터 지난달까지 월별로 내내 1%대였고, 신한은행의 상생·민관협력형 앱 사용자 수는 지난해 2~3%대를 기록한 달도 있었지만, 올해 들어 다시 1%대로 내려앉았습니다. 취재해 보니, 이런 앱이 있는 줄 몰랐다는 분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또, 소비자 입장에서 음식점 선택권이 넓고 할인 혜택이 많아야 하는데, 그런 부분에서 공공 앱 경쟁력이 뒤쳐진다는 의견도 있었는데요.
■ 공공배달 앱의 살길은?
2020년, 군산 '배달의 명수'를 시작으로 공공배달 앱은 한때, 전국 30여 개까지 늘었습니다. 2~3개의 대형 배달 앱이 시장을 독과점하다시피 한 상황에서 중개수수료가 너무 비싸다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덜어주려는 취지였습니다. 그러나 성과가 좋지 않다보니 10여 개 공공 앱이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지자체별로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 많게는 백억 원대 예산을 들였습니다. 계속해서 같은 예산을 투입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수수료를 조금 올리는 방안을 고민하는 지자체도, 지속적인 운영에 대해 회의적인 지자체도 있습니다. 당초, 공공서비스로 합당하지 않고 시장 원리에 맡겨야 할 영역이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공공배달 앱의 살길은 무엇일까요?
입점 가맹점 수 부족-> 소비자 이탈-> 가맹점 이탈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지금, 무엇이 먼저이냐를 놓고 고민할 시간이 없습니다. 가맹점 수를 늘리고, 소비자를 확보하는 두 가지를 동시에 해내야 합니다. 음식점 입장에서 당장은 매출에 큰 도움이 안되고 신경만 쓰이더라도, 잠재고객을 확보한다는 심정으로 공공 앱을 열어두면 어떨까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현재의 홍보 마케팅· 이벤트가 얼마나 효과적인지도 점검해 봐야 합니다. 음식점은 공공 앱을 깔아야 할 이유가 명확하지만, 소비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역 상품권·지역 화폐를 할인 구매한 후 공공배달 앱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인데, 이 과정이 불편하거나 사실 자체를 몰랐다는 소비자도 적지 않습니다. 소상공인과 소비자· 배달 라이더 모두 상생할 수 있는, 그 어려운 걸 공공배달 앱이 해냈다는 기사를 다음번에 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진희
김진희 기자
hydrogen@kbs.co.kr